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단독] 발암성 물질 '니켈'도 있었다…스타벅스 내부 보고서 입수

[단독] 발암성 물질 '니켈'도 있었다…스타벅스 내부 보고서 입수
발암물질 폼알데하이드가 검출돼 논란이 됐던 스타벅스 캐리백에서 또 다른 발암성 물질인 니켈이 검출된 걸로 SBS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SBS는 스타벅스 내부에서 공유됐던 캐리백 시험 성적서를 단독 입수했습니다.

지난 5월 10일 캐리백 이벤트가 시작되고, 가방에서 악취가 난다는 민원이 쏟아지자 스타벅스가 중국에 있는 가방 제조회사에 연락해 지난 5월 20일 이메일을 통해 받은 자료입니다.

해당 자료에는 폼알데하이드 외에 발암성 물질로 분류되는 니켈도 검출됐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습니다.

니켈은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로도 알려졌습니다.

0.55~0.65㎍/㎠ 정도가 검출됐다고 나오는데, 의류, 그리고 아동용 제품 안전 기준인 0.50㎍/㎠를 초과하는 양입니다.

폼알데하이드는 1,062mg 검출됐다고 나오는데 생활용품안전관리법상 의류, 침구류 기준의 3배가 넘습니다.

SBS는 이 시험성적서 외에 스타벅스가 자체적으로 의뢰한 두 건의 유해성 검사 보고서도 입수했습니다.

한창 증정 행사가 진행되던 7월 초, 한 블로거가 폼알데하이드 검출을 주장하자 폼알데하이드 확인을 위해 의뢰한 건데, 폼알데하이드 500mg가량이 검출된 걸로 확인됐습니다.

그런데도 스타벅스는 캐리백 증정 행사를 중단하지 않았습니다.

행사가 종료되고 사흘이 지난 7월 21일 연구기관 직원이라고 밝힌 인물이 SNS에 폼알데하이드 검출 글을 올리며 파장이 커졌습니다.

그러자 다시 검사를 의뢰했고, 이번에도 폼알데하이드가 500mg 넘게 나오자 스타벅스는 사과문을 발표했습니다.

몸에 직접 착용하지 않는 가방류는 유해물질 안전 요건에 적용되지 않지만,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사과드린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스타벅스 측은 니켈 검출 사실과 관련해 SBS 취재진에 "인지하지 못했다"면서 "니켈 안전 기준은 제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피부에 지속적으로 접촉할 경우 적용되기에 캐리백은 적용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또 폼알데하이드 검출 사실을 세 차례 인지한 뒤에야 회수 조치한 것에 대해서는 "가방에 대한 기준은 없어 수치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판단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고 해명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