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국인 사망원인 1위, 10∼30대는 극단적 선택 · 40대부터는 암

한국인 사망원인 1위, 10∼30대는 극단적 선택 · 40대부터는 암
지난해 한국인 사망원인 1위는 10대부터 30대까지는 극단적 선택이 40대 이후는 암이었습니다.

지난해 하루 평균 37명이 스스로 생을 마감했으며,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자살률을 보인 걸로 집계됐습니다.

통계청은 오늘 이런 내용의 '2021년 사망원인통계'를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사망자 31만 7천680명의 사인 중 가장 많은 것은 암으로, 전체의 26.0%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심장 질환(9.9%), 폐렴(7.2%), 뇌혈관 질환(7.1%), 고의적 자해(자살)(4.2%), 당뇨병(2.8%), 알츠하이머병(2.5%), 간 질환(2.2%), 패혈증(2.0%), 고혈압성 질환(2.0%) 순이었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10대, 20대, 30대는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경우가 사인 중 가장 많았습니다.

연령대로 보면 10대 43.7%, 20대 56.8%, 30대 40.6%에 이릅니다.

40대 이후에는 암이 사인 1위였습니다.

암으로 인한 사망자 비율은 40대 27.7%, 50대 35.4%, 60대 41.4%, 70대 34.7%, 80세 이상 17.1%였습니다.

지난해 극단적 선택을 한 사람은 1만 3천352명으로 전년보다 1.2% 늘었습니다.

하루 평균 36.6명이었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람 수를 뜻하는 자살 사망률은 작년 26.0명으로 전년보다 1.2% 상승했습니다.

자살률은 남자(35.9명)가 여자(16.2명)의 2.2배였습니다.

OECD 국가 간 연령표준화 자살률로 보면 한국은 23.6명으로 OECD 38개국 평균 11.1명의 2배가 넘었습니다.

지난해 암 사망자는 8만 2천688명, 사망률은 10만 명 당 161.1명으로 전년보다 0.6% 늘었습니다.

암 사망률은 폐암(36.8명), 간암(20.0명), 대장암(17.5명), 위암(14.1명), 췌장암(13.5명) 순으로 높았습니다.

남자의 암 사망률은 199.0명으로 여자 123.4명의 1.6배였습니다.

남자는 폐암, 간암, 대장암 순으로 사망률이 높았고 여자는 폐암, 대장암, 췌장암 순으로 사망률이 높았습니다.

알코올성 간 질환이나 위염 등 알코올 관련 사망자 수는 4천928명으로 하루 평균 13.5명이었습니다.

전년보다는 4.4% 줄었습니다.

알코올 관련 사망률은 9.6명으로, 남자(16.5명)가 여자(2.7명)의 6.1배였습니다.

치매 사망자는 1만 351명, 사망률은 20.2명으로 2.7% 줄었습니다.

치매 사망률은 여자(27.4명)가 남자(12.8명)보다 높았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