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파운드화 급락' 영국, 기준금리 1.25%p 인상 전망

'파운드화 급락' 영국, 기준금리 1.25%p 인상 전망
영국 정부의 대규모 감세정책 발표에 이어 추가 감세까지 예고되면서 파운드화 약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영국 중앙은행인 잉글랜드은행이 오는 11월에 파격적인 1.25%포인트 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고 블룸버그통신이 현지시간 어제 보도했습니다.

지난 23일 영국 정부의 대규모 감세정책 발표 이후 1985년 이후 처음 파운드당 1.09달러 아래로 떨어졌던 파운드화 가치는 이날 아시아 시장에서 37년 만에 최저치를 재차 경신했습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파운드화 가치는 한국시간 이날 오전 10시 7분 기준으로 거래일보다 2.68% 떨어진 파운드당 1.0568달러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앞서 23일 리즈 트러스 내각은 하원에서 소득세 인하, 법인세 인상 철회 등을 통해 2027년까지 450억파운드, 우리 돈 약 70조 원을 감세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예산안을 발표했습니다.

이어 쿼지 콰텡 재무장관은 전날 BBC에 출연, 대규모 감세 정책에 대한 시장 반응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겠다면서 추가적인 감세정책을 예고했습니다.

콰텡 장관은 새 정부가 들어선 지 이제 19일이 지났을 뿐이라면서 경제 성장을 이끄는 것은 결국 국민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감세로 세금으로 나가는 국민 수입이 줄어들 것이라면서 내년까지는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블룸버그는 그러나 시장에서는 중앙은행이 비상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면서 파운드 약세가 이어지면 이르면 이번 주중에라도 앤드루 베일리 BOE 총재의 공개 언급이 나올 것이란 관측도 있다고 전했습니다.

시장은 정부의 대규모 감세정책 발표로 인해 오는 11월에 BOE의 1.25%포인트 금리 인상이 확실해졌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대규모 감세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면 이를 상쇄하기 위해 대폭 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것입니다.

블룸버그는 대규모 감세정책의 재원에 대한 정부 설명이 빠지면서 시장의 의구심이 커진 상황이라면서 1파운드 가치가 1달러 선으로 떨어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