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대통령실, 윤석열-바이든 '48초 환담'에 "플랜B 작동한 것"

대통령실, 윤석열-바이든 '48초 환담'에 "플랜B 작동한 것"
대통령실은 21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정식 회담이 아닌 짧은 환담에 그친 데 대해 "일종의 '플랜B'를 작동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바이든 대통령 외교 일정이 예상치 못하게 변경되면서 애초 기대했던 2차 한미 정상회담을 열지 못하게 되자 차선책을 선택했다는 설명입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현지 프레스센터 브리핑에서 "바이든 대통령의 일정이 변경되지 않았으면 (회담 성사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으나 여의치 않았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 19일 영국 런던에서 엘리자베스 2세 여왕 국장에 참석한 뒤 국내 정치 일정 등을 이유로 뉴욕 대신 워싱턴DC로 직행했고, 뉴욕 체류 기간이 갑자기 하루 줄면서 회담이 어려워졌다는 설명입니다.

이 관계자는 "가능하면 정상회담을 하는 것이 애초 목적이었다"면서도 "비상 상황이 생겼고, 정식 회담이 아닌 실용적 방안도 검토하게 됐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참모 입장에서 비상 수단을 강구하기 시작한 것"이라며 "여러 검토를 한 끝에 바이든 대통령이 참석하는 회의가 (환담하기에)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윤 대통령은 결국 21일 '글로벌펀드 제7차 재정공약회의' 참석을 계기로 행사장 무대 위에서 바이든 대통령과 잠시 만나 환담을 했습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 자리에서의 환담이 약 48초에 그친 데 대해 "두 정상이 만난 시간의 총량이 중요한 게 아니다"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같은 날 저녁 바이든 대통령 부부가 주최한 리셉션에서 이뤄진 추가 환담에 대해서도 "짧을 수밖에 없었다"고 했지만, "많은 시간이 필요한 게 아니더라"라고 덧붙였습니다.

이 관계자는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이 19일 런던에 이어 21일 뉴욕에서 두 차례 환담하는 과정에서 그동안 실무진이 충분히 논의해온 의제를 '확인'하고 '재가'했다는 데 의의를 뒀습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한미 통화 스와프, 대북 확장 억제 등에 대해 양국의 국가안보회의(NSC)가 집중적인 검토를 했으며, 한미 정상이 공감대를 확인한 것이 이번 순방의 성과 중 하나라는 취지입니다.

앞서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이 IRA에 대한 국내 업계 우려를 전달했으며, 바이든 대통령은 한국의 우려를 잘 알고 있고 진지하게 협의하자고 답했다고 전했습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런던에서 운을 한번 띄우고, 글로벌펀드 회의에서 확인을 받고, 리셉션에서 재확인을 받는 일련의 절차가 이뤄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최상목 경제수석도 "정상 간에 어떤 인식을 공유하고, 상대방 정상이 우리의 상황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압축해 말하고, 바이든 대통령 역시 압축해서 의견을 말했다"며 "양국 NSC 간 검토했던 사안에 관해 확인이 이뤄졌기 때문에 비교적 상세한 보도자료를 낼 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양국 보도자료 내용에 차이가 있었던 데 대해선 "우리가 백악관보다 훨씬 상세하게 자료를 낸 것"이라며 "우리가 발표한 자료에 대해 미국 측과 충분한 협의가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대통령실은 2년 9개월여 만에 성사된 한일 정상회담이 형식상 '약식'에 그친 데 대해서도 배경 설명을 내놨습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바이든 대통령의 일정이 변경되면서 모든 양자 회담 일정이 헝클어졌다"며 "연쇄 파생 효과로 한일 정상회담도 상당히 불투명해진 가운데 어떻게 보면 급작스럽게 일정을 잡다 보니 약식 회담 형식을 띠게 됐다"고 말했습니다.

양국이 회담 직전까지 신경전을 벌인 데 대해선 "정상회담은 동시 발표가 일종의 관례였다"며 "그것이 어떤 시점에 제대로 지켜지지 못한 측면이 있는데 대해 양측 간에 조금 이견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회담을 하기 전까지 보안을 철저히 유지하는 것으로 합의를 했다"며 "그래서 사전에 기자들에게 공지하지 못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일본 측이 '약식 회담'이 아닌 '간담'으로 표현한 데 대해서는 "기대 수준을 낮추는, 돌다리도 두들겨가는 일본의 입장이 그런 식으로 투영된 것이 아닌가 추측을 해본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일본 기자들이 회담 장소에 미리 나가 취재 활동을 벌인 것에 대해서는 "일본 측에 문의해볼 생각"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지금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해 양국이 집중하고 있는 현안은 강제징용 문제"라고 강조하며, 한일 정상이 회담에서 과거사 문제 해법을 논의했음을 시사했습니다.

다만,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