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금배추' 1포기 도매가 9천 원 육박…김장철 앞두고 초비상

'금배추' 1포기 도매가 9천 원 육박…김장철 앞두고 초비상
이달 중순 들어 배추 도매가격이 1포기당 9천 원에 육박할 정도로 올랐습니다.

정부는 추석 전후로 총 1만 1천300t의 배추를 시장에 공급했지만 가격을 잡지 못했습니다.

김장철을 앞두고 수요가 커질 예정인 가운데 가격의 추가 인상을 막기 위해 정부는 비축물량을 더욱 푸는 등 총력을 다할 방침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달 중순(11∼19일) 서울 가락시장 기준 배추(상품) 1포기의 도매가격이 8천992원까지 올랐다고 오늘(20일) 밝혔습니다.

이는 상순(1∼10일) 때 가격인 7천9원보다 28.3% 높은 수준입니다.

배추 가격이 이처럼 급등한 것은 최근 기상 여건이 좋지 않아 생육이 저하됐기 때문입니다.

농식품부는 앞서 추석을 앞두고 수급 안정을 위해 배추 1만 t을 시장에 공급한 데 이어 추석 이후 1천300t을 추가로 풀었지만 수급 불안은 해소되지 않았습니다.

이에 향후 1천500t을 비축하고, 기존에 보유한 물량과 함께 총 3천t을 내달 초까지 즉시 공급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수출김치용 배추 600t의 수입 시기를 당초 내달 상순에서 이달 중으로 앞당길 방침입니다.

또 이달 말이나 내달부터 순차적으로 수확할 계획이던 배추 중 조기에 수확할 수 있는 물량은 시장에 우선 공급하기로 했습니다.

배추값 인상에 영향받는 김치 (사진=연합뉴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준고랭지 2기작 배추가 본격 출하되는 이달 말부터 가격이 하락세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내달 상순부터는 배추 가격이 평년 수준까지 내려갈 것으로 관측되며, 내달 중순부터 가을배추도 출하되는 만큼 11월 초 김장철 배추 수급은 원활히 이뤄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정부는 내달 말 주요 김장재료인 배추, 무, 고추, 마늘의 수급안정 대책을 발표할 계획입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배추 외 주요 채소류 가격은 하향 안정세로 접어들었습니다.

청상추, 양배추, 시금치, 깻잎, 대파는 이달 중순 들어 도매가격이 평년보다 낮아졌습니다.

사과, 배, 포도, 오이, 애호박, 가지, 토마토 가격 역시 평년보다 낮고 무, 양파, 대파, 상추, 깻잎, 시금치도 9월 상순보다 하락했습니다.

다만 당근은 최근 기상악화에 따른 일조량 부족으로 9월 상순보다 도매가격이 오른 상황입니다.

농식품부는 "통상 도매가격이 소매가격에 반영되기까지의 시차가 있다"며 "9월 상순보다 하락한 농산물 가격은 1∼2주 후 소매가격에 점차 반영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