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엔저로 日 경제력 30년 후퇴…"평균임금, 한국에 이미 밀렸다"

엔저로 日 경제력 30년 후퇴…"평균임금, 한국에 이미 밀렸다"
일본이 나 홀로 금융완화를 고집하면서 엔화 약세(엔저) 기조가 두드러진 가운데 일본 경제력이 30년 후퇴한 것과 비슷한 상황이라고 현지 유력 경제지가 분석했습니다.

올해 환율이 1달러에 140엔 수준이 되면 달러로 환산한 일본의 국내총생산(GDP)이 1992년에 이어 30년 만에 4조 달러에 미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9일 보도했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올해 일본의 명목 GDP가 553조 엔(약 5천366조 원)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는데 GDP를 달러로 환산할 때 적용되는 환율이 1달러에 140엔 수준이고 OECD의 관측이 정확하다면 올해 일본 GDP는 3조9천억 달러에 그친다는 것입니다.

19일 오전 10시 24분 현재 아시아 외환시장에서 엔화는 1달러에 142.9엔 초반에 거래되는 등 최근 엔화 가치는 이미 달러당 140엔을 넘을 정도로 하락했습니다.

다만 연간 GDP를 환산할 때 적용되는 평균 환율은 현시점에서는 달러당 127엔 정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GDP가 30년 전 수준이 된다는 것은 향후 엔화 약세가 심화하는 경우를 염두에 둔 분석입니다.

환율이 1달러에 140엔이라고 가정하면 달러를 기준으로 한 일본 경제 규모는 거품(버블) 붕괴 직후와 비슷해진다고 닛케이는 지적했습니다.

세계 GDP는 버블 붕괴 후 4배로 늘었는데 한때 전체의 15%를 넘게 차지했던 일본 경제의 점유율은 4%도 안 되는 수준으로 축소한다는 것입니다.

세계 3위인 일본의 GDP는 4위 독일과 별 차이가 없어집니다.

2012년에 일본 GDP가 6조 달러를 넘었고 이는 독일보다 80% 정도 많은 수준이었던 것에 비춰보면 일본 경제의 쇠락을 실감할 수 있습니다.

엔화의 가치가 달러당 140엔 수준이면 외국인 노동자 입장에서 엔화로 월급을 받으면서 일본에서 일하는 것이 그리 좋은 선택이 아니게 됩니다.

이와 관련해 노구치 유키오 일본 히토쓰바시대 명예교수는 "통화 가치가 낮아지는 것은 국력을 저하한다. 해외에서 인재를 끌어올 수 없게 되며 성장을 방해한다"고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닛케이는 달러와 비교한 올해 통화 가치 하락률에서 엔화가 한국 원화를 웃돌고 있으며 2011년에는 한국과 일본 사이에 달러 환산 평균 임금에 2배의 격차가 있었으나 이제 거의 비슷하다고 진단했습니다.

이 신문은 "물가 차이를 고려한 구매력평가(PPP) 기준으로는 이미 역전됐다"면서 상황의 심각성을 지적했습니다.

닛케이는 올해 1∼8월 외국인의 일본 주식 거래에서 매도액이 매수액보다 2조7천억 엔(약 26조2천억 원) 많았다는 점에도 주목했습니다.

이어 외국인이 운용 성적을 평가할 때 사용하는 달러 기준 도쿄주식시장의 닛케이평균주가(225종, 닛케이지수)는 올해 23% 낮아졌고 연간 하락률이 금융위기 시절인 2008년(42%)에 이어 가장 높다면서 "해외에서 보는 일본 자산의 가치가 감소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