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환율 1,400원 육박…코스피, 외인 비중 30% 무너지나?

환율 1,400원 육박…코스피, 외인 비중 30% 무너지나?
환율이 1,400원에 육박하고, 외국인 매도 행렬이 이어지면서, 외국인이 투자자가 보유한 코스피 주식의 시가총액 비중이 2009년 7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줄었습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9월 15일 기준,유가증권시장 전체 시총은 1천892조원으로 이 가운데 외국인 보유 주식 시총은 575조원입니다.
 

30% 무너지나?


시총을 기준으로 외국인이 보유한 주식 비중은 30.39%입니다.

2009년 7월 27일의 30.37% 이후 약 13년 2개월 만의 최저치입니다.

코스피 외국인 시총 비중은 2020년 초 40%에 육박했지만, 이후 2020년 말 36.50%, 2021년 말 33.55%로 점차 줄었습니다.

올해 들어서는 LG에너지솔루션 상장을 앞둔 1월 25일에 34.20%까지 늘었다가 점점 하락해 30%대까지 내려왔습니다.

만약 30%대가 무너지면 2009년 7월 13일에 29.92%를 기록한 이후 처음입니다.
 

강달러, 인플레이션 그리고 경기침체


외국인 시총 비중 축소는 최근 강달러로 인한 원/달러 환율 상승세에 때문입니다.

여기에 고물가 압력과 긴축에 대한 부담으로 신흥국 시장 등에 대한 글로벌 위험자산 투자 심리가 위축된 것도 외국인 자금 이탈을 더욱 부추기고 있습니다.

외국인들은, 원화 약세와 한미 금리 역전 등 악조건에도 유가증권시장에서 7월과 8월에 연이어 매수 우위를 보였지만, 결국 9월에 매도 우위로 돌아섰습니다.
 

환율 상승에 수출 둔화까지 겹쳐


이달 초 원/달러 환율은 13년 4개월여 만에 1,360원을 돌파한 이후 약 2주 만에 1,400원 턱밑까지 올랐습니다.

원/달러 환율 급등은 외국인 수급에 악재로 작용해 주가를 끌어내리고, 다시 환율 급등을 부르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8월에 2,500선을 회복한 코스피는 최근 외국인 매도세에 다시 2,400선 아래로 밀려나며 7월 초 이후 '베어마켓 랠리(약세장 속 단기 반등)' 상승분을 반납했습니다.

노동길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원/달러 환율과 코스피 외국인 수급은 대체로 음(-)의 상관계수를 보인다"며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는 환율이 상승할 때 환차손을 키울 수 있어 자금 이탈을 가속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환율 상승을 수출 둔화의 결과로 보면 펀더멘털 측면에서 외국인 순매도를 유발할 수도 있다"며 "환율, 외국인 수급, 펀더멘털 간 관계가 밀접하기 때문에 달러 강세는 국내 주식시장 수익률 약화를 의미한다"고 덧붙였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