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D리포트] 서울시 소각장 결정 과정 공개했지만…산 넘어 산

서울시청 서소문 2청사 작은 회의실에 시민 여러 명이 모여 문서를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서울시가 어제(15일)부터 새 쓰레기 소각장 결정 과정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소각장 입지선정위원회의 회의록 요약본과 36개로 추려진 후보지의 행정동, 마포 상암동을 포함해 마지막 5배수 안에 든 지역의 항목별 세부 점수 등이 공개 대상입니다.

평가 항목과 총점만 알리겠다던 2주 전 서울시 입장에서 진일보한 거란 평가가 나오는데, 상암동을 뺀 나머지 네 곳이 정확히 어딘지는 여전히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지역 간 갈등을 부를 거란 우려 때문인데, 각 후보지의 실명이 공개되지 않자 추측성 반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마포구 주민 : A, B, C, D가 여기는 동네가 나오지 않았는데 A 같은 경우가 강동(고덕동)인 것 같습니다. 근데 저희(상암동)랑 
별 차이가 나지 않아요. 한 2.3점 차이가 나는데…]

지난 지방선거 전후로 일부 기초자치단체 후보자들이 출마 지역에 소각장이 들어선단 소문에 정치적으로 강경 대응을 한 영향입니다.

최종 5배수 안에 들었던 네 곳이 포함된 36개 행정동은 이미 공개된 데다, 익명 처리된 네 개 지역을 공개하든 안 하든 주민의 반발을 피할 수 없다면, 서울시가 더 전향적인 자세를 보일 필요가 있단 지적이 나옵니다.

[심준섭 / 중앙대 공공인재학부 교수 : 오히려 드러내도 돼요. (투명한 공개로 지지를 얻는다면) 강동구든 하남이든 이런 쪽에서 정치인들이 어떤 자기 영향력의 산물이라는 과대 포장된 주장을 할 수 없게 만드는 데도 기여할 텐데...]

신규 소각장과 기존 시설을 동시에 가동하다가, 2035년까지 기존 소각장을 철거하겠단 약속을 어떻게 보장할지도 관건입니다.

기존 상암동 시설이 소각해 온 하루 750톤의 쓰레기를 소화할 수 있는 대안으로 강남, 양천, 노원에 있는 기존 소각장의 현대화 등이 거론되는데, 이런 방안이 가능할지는 내년 말 용역이 끝난 뒤에야 확정됩니다.

[서울시 관계자 : 지금 당장은 '(철거 대안이) 딱 이렇다' 하지 못하지만, 그 용역이 내년에 완료되면 그거하고 여러 가지 대안을 검토를 해서 확정을 지은 다음에...]

주민 반발을 우려해 구체적 대안이 마련되기 전 철거 시점부터 못 박은 것인데, 원활한 협의를 위해선 서울시의 더 구체적인 계획이 나와야 한단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 소각장 신설과 관련한 주민 공람 절차는 다음 달 6일까지 이어집니다.

SBS 김상민입니다.

(취재 : 김상민 / 영상취재 : 오영춘 / 영상편집 : 박춘배 / CG : 김정은 / 제작 : D뉴스플랫폼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