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아프간 특별기여자 정착 1년…"직업 · 경험 못 살려"

<앵커>

아프가니스탄에서 우리나라와 인연을 맺고 일하다가 탈레반 정권의 핍박을 피해 한국으로 긴급 이주한 아프간 특별기여자들, 기억하실 겁니다.

이들이 온 지 이제 1년이 지났는데, 어떻게 적응하고 있는지, 박예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누룰라/아프간 특별기여자 : 우리는 오늘 업무관리시스템에 대해서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인 직원들 앞에서 교육을 하고 있는 외국인.

아프가니스탄의 국제구호단체에서 의료 물품 조달 업무를 담당했던 누룰라 사데키 씨입니다.

누룰라 씨는 지금 같은 국제구호단체 한국지사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누룰라/아프간 특별기여자 : 처음 업무를 시작할 때 모든 것이 한국어로 된 게 가장 어려웠어요. 아프가니스탄 사무소의 시스템은 전부 영어로 이뤄져 있었거든요.]

누룰라 씨는 그래도 고국에서의 경력을 살린 운이 좋은 경우입니다.

아프간에서 10년간 NGO 관리자로 근무하며 공공의료 프로젝트를 책임졌던 A 씨.

지난 1월부터 인천의 한 주방용품 제조공장에서 하루 14시간씩 일하고 있습니다.

개발경제학 석사 학위도, NGO 근무 경력도 살릴 수 없었습니다.

[A 씨/아프간 특별기여자 : 평생 해본 적 없는 일을 하고 있고, 직업·교육과 관련 없는 일을 하는 게 매우 어렵잖아요. 그래서 매우 힘들고 어려운 부분입니다.]

지난해 누룰라와 A 씨 같은 아프간 특별기여자는 79명, 그의 가족들까지 모두 391명이 한국에 왔습니다.

바그람 한국 병원에서 근무한 의료진들과 대사관, NGO 등에서 일한 이들이 62명에 달합니다.

하지만 이들 중 55명이 직무 경험, 면허증 등과 무관한 생산직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입국한 지 1년이 넘었지만, 특별기여자 중 14명은 여전히 직장을 구하고 있습니다.

난민의 경우, 관련 법에 외국에서 취득한 자격도 인증하는 '자격인정제도'가 명시돼 있지만, 특별기여자라는 독특한 신분은 관련 법조차 없습니다.

[황필규/변호사 : 특별기여자분들 같은 경우는 한국에서 이분들을 온전히 보호하겠다 그랬을 때 기존에 가졌던 직업, 기능, 어떤 사회 생활상의 지위 이런 것들을 가능하면 최대한 보장되는 방식으로….]

법무부 관계자는 "특별기여자들에게 난민에 준하는 지원을 하지만, 자격인정 등에 관해서는 여러 부처와 상의가 필요해 미비한 측면이 있다"며 한계를 인정했습니다.

특별기여자에 대한 지원 반대 여론도 존재하지만, 한국 정부와 함께 일했던 기여를 인정받은 만큼 지원 확대를 위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영상취재 : 박진호·이상학, 영상편집 : 이소영, CG : 김홍식·장성범·최하늘)

※ 알림 

SBS의 보도 이후 법무부에서는 아래와 같은 공식 입장을 보내왔습니다. 

법무부는 아프간 특별기여자들에 대해 관련법에 따라 난민인정자들과 동일하게 자격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또 특별기여자들이 국내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관계부처와 협의해 지원 방안을 강구할 예정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