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6년간 정부 시스템 해킹 시도 56만 건…중국·미국발 43%

6년간 정부 시스템 해킹 시도 56만 건…중국·미국발 43%
최근 6년간 정부 주요 시스템을 겨냥한 해킹 시도가 56만 건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13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해식 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중앙행정기관 대상 해킹 시도 차단 현황'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7월까지 5년 7개월간 총 55만8천674건의 해킹 시도가 있었습니다.

연도별로 보면 2017년 6만2천532건, 2018년 9만4천980건, 2019년 12만4천754건, 2020년 10만8천810건, 2021년 10만1천123건 등 대체로 증가 추세였습니다.

올해는 7월 현재 6만6천475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추적한 결과 중국발이 12만7천908건(22.9%)으로 가장 많았고, 미국발이 11만3천86건(20.2%)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국내에서 해킹이 시작된 경우는 4만7천725건(8.5%)이었고 이어 러시아 2만6천261건(4.7%), 독일 1만5천539건(2.8%), 브라질 1만3천591건(2.4%) 등이었습니다.

다만 해커들은 추적을 피하고자 IP 주소를 우회하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출처를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고 이 의원실은 전했습니다.

공격 유형별로 살펴보면 '정보 유출'(22만8천950건·40.9%)이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정보 수집'(9만1천949건·16.5%), '홈페이지 변조'(8만7천911건·15.7%), '시스템 권한 획득'(7만9천332건·14.2%) 등의 순이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이해식 의원 (사진=연합뉴스)

이해식 의원은 "정부에 대한 해킹 시도가 매년 꾸준히 늘어난다는 것은 국가 안보와 국민들의 개인정보가 위협받는다는 의미"라며 "다양화하는 해킹 시도에 대비해 정부 차원의 적극적이고 철저한 사이버 보안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