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폭우에 위험한 지하주차장…"무릎까지만 차도 대피 불가"

<앵커>

이번 태풍으로 가장 큰 인명피해가 발생한 곳은 아파트 지하주차장이었습니다.

지난달 수도권 집중호우 때도 지하주차장에서 인명피해가 났는데, 폭우가 내릴 때 지하주차장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하정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하주차장 진입로를 타고 폭포수처럼 쏟아지는 빗물.

출구를 향해 줄지어 올라가는 차들 사이로, 마치 소용돌이치듯 움직입니다.

11호 태풍 '힌남노'로 가장 큰 인명피해가 발생한 곳은 포항 아파트의 지하주차장입니다.

수도권에 115년 만에 기록적 폭우가 쏟아진 지난달에도 강남의 한 건물 지하주차장에서 40대 남성이 빠져나오지 못해 결국 목숨을 잃었습니다.

대형 재해, 특히 비 피해가 클 때마다 지하주차장에서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일이 최근 반복되는 겁니다.

주차 공간 부족으로 깊은 지하주차장을 만드는 게 추세인데, 전문가들은 이런 지하주차장이 폭우 때 심각한 위험 지역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하주차장 진입로가 지면과 맞닿아 넓게 뚫려 있고, 아래로 경사져 많은 물이 빠른 속도로 유입됩니다.

또 차량이 여러 대 세워져 있기 때문에 이 사이로 와류, 즉 소용돌이 물살이 발생합니다.

배수마저 쉽지 않다 보니 물이 들이차기 시작하면 이미 위험한 상황이 되어 버립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실증 실험을 한 결과 지하 공간에서 물이 성인 정강이 높이까지만 들이차도 물살 때문에 대피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그리고 무릎 바로 밑까지 물이 들이차면 남녀를 불문하고 대피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출입문을 여는 것 자체가 수압 때문에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이런 이유로, 물이 차기 시작했다면 곧바로 지하주차장에서 빠져나오는 게 가장 안전합니다.

주차장 출입구에 차수판을 설치하는 게 효과적인 대안으로 거론됩니다.

하지만, 현재는 침수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에 한해서만 지하주차장 차수판 설치 의무가 있습니다.

[이영주/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내가 설치하고 싶다, 그런 분들이 설치할 수 있게 용이하게 기술적으로나 비용적으로나 이런 부분들을 지원해 주는 게 훨씬 더 효과적입니다.]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배수펌프의 용량을 늘리는 것도 위험을 줄일 방안으로 제시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