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통영 주민들의 철저한 해일 피해 대비…긴장의 끈 계속

<앵커>

이번에는 힌남노의 상륙 지점 바로 옆인 경남 통영 상황 알아보겠습니다. 

신용식 기자, 현장 상황은 어떻습니까? 

<기자>

저는 통영 북신항에 나와 있습니다.

태풍은 오전 4시 50분쯤 이곳에서 차로 20분 거리인 경남 거제에 상륙 후 이동을 했는데 워낙 태풍이 크다 보니 아직까지 태풍의 영향권에 있습니다마는 비는 소강상태고 바람도 점차 잦아들고 있습니다.

항구와 어촌을 중심으로 해일 피해를 대비한 준비를 미리 해서 다행히 큰 피해도 없었습니다.

이곳 항구에도 현재 300여 척에 달하는 선박이 태풍을 피해 정박하는 등 경남 지역에서 1만 3천여 척의 배가 피항한 상태입니다.

하지만 최대 누적 강우량이 250mm까지 예고됨에 따라 긴장을 늦출 수는 없습니다. 

<앵커>

주민들도 그야말로 초긴장 상태일 것 같은데요. 

<기자>

이곳 통영은 지난 2003년 태풍 매미로 막대한 피해를 겪은 바 있습니다.

이번 태풍의 위력 역시 그때와 비견할 만큼 상당하다는 소식에 주민들의 불안감이 컸었습니다.

주민센터에서 보급하는 모래주머니를 가게 입구에 층층이 쌓아 올리는 등 대비에 여념이 없었는데요.

이 때문인지 일부 정전을 제외하고는 현재까지 인명피해나 건물 파손 피해 등은 없습니다.

통영시는 태풍 영향을 우려해 시내버스 운행도 잠시 중단했다가 오전 7시부터 운행을 재기했습니다.

한편 경남도청은 재난대비수준 최고 단계인 심각 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태풍이 다 끝나기 전까지 총력 대응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