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힌남노, '매우 강' 상태로 북상 중…경남 남해안 상륙 예상

<앵커>

기상팀의 서동균 기자와 현재 상황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Q. 태풍 현재 위치는?

[서동균 기자 : 현재는 오전 10시쯤 서귀포 남남서쪽 390km 해상을 지나서 지금 좀 더 가까이 들어와 있는 상태입니다. 강풍 반경이 400km가 넘으니까 이미 제주도는 한두 시간 전부터는 강풍 반경 안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요. 일단 비구름이 내리는 비 때문에 산지에는 250mm 이상, 내륙에도 100mm 이상의 비가 내렸습니다. 현재도 시간당 15~20mm의 비가 내리고 있고요. 강풍도 굉장히 강합니다. 이미 순간적으로 초속 34m의 바람이 제주에 불었고요. 현재도 20m 이상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Q. 상륙 지점 경남 남해안 전망, 구체적으로 어느 지역?

[서동균 기자 : 일단은 경남 남해안은 확실시 상륙이 될 것으로 보이고요. 태풍이 현재 지금 중심을 기점으로 좌우로 조금씩 흔들리고 있습니다. 이렇다 보니까 기상청은 부산부터 통영까지 경남 남해안에 상륙할 것으로 예보를 했고요. 현재 나온 예보대로라면 내일(6일) 새벽 6시에서 7시쯤 통영 그리고 거제 인근에 상륙할 것으로 보입니다. 어쨌든 태풍 강풍 반경이 어 크고 태풍이 경남 남해안 어디에 오더라도 큰 피해가 우려되기 때문에 인근에 계신 주민분들은 철저히 대비를 더 해 주셔야겠습니다.]

Q. 제주도 상륙 가능성도 있나?

[서동균 기자 : 일단 오늘 오후 6시, 오늘 오후 한 3, 4시쯤을 기점으로 제주도에 바짝 다가설 것으로 보이는데요. 일단 기상청이 예보하는 것보다 태풍이 조금 더 동쪽에 가 있는 것으로 확인이 됐습니다. 이러다 보니까 제주도에 상륙할 가능성이  현재는 기상청은 낮은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Q. 태풍의 세력이 더 약해질 가능성은?

[서동균 기자 : 일단은 우리나라 이게 북위 30도를 지나가고 있거든요. 우리나라 상층 기압대가 태풍이 지금 죽지 않게끔 할 수, 되게 유리한 기압계를 만들어주고 있습니다. 태풍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는데요. 우리나라 상층 기압계에서 이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더 키워줄 수 있는 기압계가 지금 위치해 있어서 태풍이 생각보다 빠르게 힘을 잃지 않고 있고요.  우리나라에 가까이 다가가는 남해상을 통과하는 시점까지도 매우 강한 정도를 유지하겠습니다. 이때 중심에서 초속 40m 이상의 바람이 불겠고요. 우리나라에 다가서는 상륙 직전인 내일 새벽이 되겠죠. 내일 새벽 5시나 6시쯤에 강도가 강 등급으로 하나 떨어지겠지만 이게 약화된다고 좋아하실 게 아니고 강 등급도 매우 강한 바람이 부는 것이기 때문에 계속 대비는 해 주셔야겠습니다.]

Q. 비는 얼마나 내리나?

[서동균 기자 : 일단 태풍이 어제 이제 수도권에도 비가 내리지 않았습니까? 태풍이 전면에서 난기가 불어와서 우리나라에 찬 공기와 부딪히면서 이미 지금 수도권에도 비가 내리고 있고 제주도에도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이 비가 제주도 산지에는 내일까지 600mm 이상의 비가 예보가 됐고요. 남해안 같은 경우에는 400mm 이상, 그 밖의 전국에는 100~300mm의 매우 많은 비가 예보가 됐습니다. 당장 태풍에 직접적인 영향뿐만이 아니라 주말부터 비가 오고 있어서 저지대 같은 경우는 침수 피해에 대비를 해 주셔야겠고요. 지반이 약화돼서 산사태 피해가 있기 때문에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산기슭이나 이런 지역에 사시는 분들은 피해 주시는 게 좋겠습니다.]

Q. 해일이 예상된다고?

[서동균 기자 : 일단 남해안 지역을 보면 오늘 오후 4시부터 5시가 만조 시각입니다. 태풍이 다가오는 시각과 맞물리죠. 태풍 같은 경우에는 저기압이기 때문에 태풍 자체로도 해수면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이 만조시와 겹쳐서 더 큰 폭풍 해일 피해가 예상이 되기 때문에 해안가에 계신 분들은 좀 조심해 주셔야겠고요. 지난번 태풍들이 왔을 때도 해안도로가 침수되는 등 많은 피해가 있었기 때문에 이런 부분은 더 조심해 주셔야겠고요. 내일 새벽도 문제인데요. 태풍의 이동 속도가 조금 빨라지다 보니까 내일 새벽에 남해안은 또 만조 시기가 또 겹칩니다. 이렇기 때문에 오늘 오후 그리고 내일 새벽에 만조 시기가 겹칠 때는 해안가 쪽으로는 아예 가지 않으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Q.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어떤 대비가 필요한가?

[서동균 기자 : 방금도 말씀드렸지만 위험한 지역들은 아예 출입하지 않으시는 게 맞고요. 집에 있더라도 지난번 태풍 때도 마찬가지인 게 태풍의 힘이 워낙 세다 보니까 유리가 뒤틀리면서 유리 파편이 튀어서 목숨을 잃는 경우도 있었거든요. 이렇듯 아파트에 계시더라도 본인이 어떤 물건이나 어떤 피해가 생길 수 있다는 생각이 들면 좀 멀찌감치 떨어져서 계시는 게 좋겠고요. 태풍이 생각보다 이동속도가 현재로서는 빠르지 않지만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시점은 오늘 자정부터 내일 오전까지 입니다. 생각보다 많이 머물지 않기 때문에 이동을 아예 자제하시고 야외 활동을 자제해 주시는 것이 가장 피해를 줄이는 방법이겠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