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시속 25km' 힌남노 빠르게 북상 중…예상 상륙 지점은?

<앵커>

보도국 기상팀 서동균 기자와 현재 태풍 상황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Q. 지금 태풍의 위치 어디에?

[서동균 기자 : 지금 현재는 서귀포 남남서쪽 410km 부근에서 지나고 있는데요. 이 시각이 태풍 1시간 전쯤 시각입니다. 지금 시속 한 25km 정도로 지금 빠르게 북상을 하고 있거든요. 현재는 더 가까이 왔을 것으로 보이고 강풍 반경이 430km 정도로 굉장히 크기 때문에 이미 제주도 같은 경우에는 강풍 반경 안에 들어서 강풍 피해를 지금 입고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Q. 상륙 지점 경남 남해안으로 전망, 구체적으로 어느 지역?

[서동균 기자 : 아직까지 정확히 어디 지점을 지나갈 거라는 예측은 좀 힘들고요. 현재로서는 거제나 통영 이쪽에 상륙할 것으로 보입니다. 시각은 내일(6일) 새벽 6시쯤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태풍의 이동 속력이나 아니면 또 얼마나 서편화 되냐 동편화 되느냐 이런 부분에 따라서 어디에 어떻게 상륙할지는 조금 더 봐야겠고 현재로서는 새벽 6시경 우리나라 남해안 거제나 통영 근처로 상륙할 것으로 보입니다.]

Q. 북상하면서 세력을 키우고 있는데, 점점 더 강해진다는 뜻?

태풍 힌남노 부산 해운대 높은 파도 (사진=연합뉴스)

[서동균 기자 : 세력을 키운다는 것은 강해진다는 뜻은 맞는데요. 강해졌다 약해졌다 좀 왔다 갔다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지금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을 때 그리고 우리나라에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칠 때의 세기일 텐데요. 매우 강 정도로 굉장히 강한 상태로 유지가 되겠고요. 이렇게 강한 정도가 유지가 되는 거는 우리나라 해수역이 평년보다 굉장히 수온이 높기 때문입니다. 태풍은 열에너지를 수온으로부터 받는데요. 수증기가 따뜻할수록 태풍의 에너지원이 되는 것이고 힘을 잃지 않고 그대로 남해안 그리고 우리나라까지 상륙을 할 수 있는 것들이고요. 그다음에 내일 자정이 넘어서 그러니까 오늘 자정이 넘어서야 이제 태풍의 강 등급이 약간 떨어지겠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한 수준을 유지하기 때문에 굉장히 조심해 주셔야겠습니다.

지금 중심에서는 초속 50m 정도의 바람이 불고 있는데요. 1초에 50m 날아갈 수 있다고 생각을 해  보시면 얼마나 강한 바람인지 아실 수가 있겠고 이와 비슷한 태풍이 과거 2003년에 매미가 있었는데요. 그때 매미가 왔을 당시에 대형 크레인이 휘어지고 넘어지는 그런 사고까지 발생을 했던 적이 있습니다.]

Q. 현재 50m/s지만 아무리 약해져도 40m/s로 강하다?

[서동균 기자 : 네, 맞습니다. 보통 태풍을 정의하는 게 초속 17m 이거든요. 초속 17m만 넘어도 굉장히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을 태풍이라고 따로 정의를 해서 저희가 특보도 하고, 보도도 하고 이런 상황인데. 이건 초속 17m보다도 두 세배 정도 더 강한 바람이 불고 있기 때문에 강풍 피해는 굉장히 클 것으로 보입니다.]

태풍 힌남노 북상

Q. 매우 강한 바람을 동반하고 있는데, 어디까지 영향?

[서동균 기자 : 일단 강풍 반경이 아까 400km 정도라고 말씀드렸죠. 이게 우리나라에 상륙하는 시점 정도면 우리나라 전역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고 또 태풍 때문에 비가 굉장히 많이 오고 있습니다. 이미 태풍의 전면에서 난기들이 올라와서 우리나라 찬 공기와 부딪히면서 이미 비가 내리고 있고 또 태풍이 수반된 공기들이  또다시 비를 직접적으로 내릴 것이기 때문에 이미 제주도 산지 이런 곳은 600mm의 비가 예고되어 있고 전국에도 300mm의 비가 예보가 돼서 비 피해 또한 대비를 해 주셔야겠습니다.]

Q. 피해를 줄이기 위해 어떻게 대비해야 하나?

[서동균 기자 : 일단은 지난번에 있던 피해들을 반면교사 삼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부산에서 지난번에 태풍 피해 때문에 집 가까이 그러니까 아파트에 사시는데 유리창이 깨지면서 유리창 파편에 다쳐서 숨지는 경우도 있었거든요. 최대한 피하시는 게 좋습니다. 유리창이나 위험이 될 수 있는 물건들에서는 굉장히 멀리 떨어져 있는 게 좋고요. 이번 태풍이 위력이 강한 것은 맞지만 굉장히 빠르게 지나간다면 어떤 특징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시간에는 바깥에 야외 활동은 삼가시고 아예 그다음에 집 안에 계시더라도 유리나 이런 쪽에는 좀 멀리 대피를 해 주시면 태풍 피해를 줄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