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윤 대통령 "당무 관여 않는다"…유인태 "그 말 믿는 국민 없어"

[주영진의 뉴스브리핑]

인터뷰를 인용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 'SBS <주영진의 뉴스브리핑>'을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SBS에 있습니다.

■ 방송 : SBS <주영진의 뉴스브리핑> 월~금 (14:00~16:00)
■ 진행 : 주영진 앵커
■ 대담 : 유인태 전 국회 사무총장
--------------------------------------------

"국민의힘, 대표 직무대행 체제로 갔어야…비대위 강행, 순리 역행"
"여당 초재선, 당 위한 쓴소리 없어…중진들이 되려 입바른 소리 해"
"이준석, 명예롭게 후퇴 필요…또 비대위 한다니 후퇴 못 해"
"윤 대통령, 대선 과정부터 이준석에 원한 큰 듯…전부 '윤심'"
"'당무 관여 않는다'는 윤 대통령 말, 믿는 국민 없을 것"
"대통령실 인적 쇄신 과정서 장제원 희생양 돼…'검핵관' 진단, 잘못돼"
"대통령실 정무직 공무원 쫓아내기, 검찰 출신 인사가 주도한 듯"
"위기에서 대통령 지키려면 '늘공(직업공무원)'보다는 '어공(정무직 공무원)' 필요"
"민정수석실 부활시켜야…체계적 인사 검증 필요한 때"

---

▷ 주영진/앵커: 말씀드린 대로 유인태 전 국회의원 오랜만에 나오셨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 유인태/전 국회 사무총장: 안녕하세요?
 
▷ 주영진/앵커: 어떤 질문을 먼저 드릴까 생각해봤는데 국민의힘 내부 상황 이준석 전 대표가 낸 가처분신청이 법원에서 받아들여졌는데 그랬더니 국민의힘, 사실 지도부라고 이야기를 해야 될지는 모르겠어요. 어쨌든 지도부 주류 측에서는 새로운 비대위를 만들겠다. 이준석 전 대표는 그러면 나는 또 가처분신청 내겠다. 이 상황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 유인태/전 국회 사무총장: 글쎄 그다음에 좀 생각 있는 중진들은 다 그냥 대표 직무대행. 맨 처음에 권성동 원내대표가 취했던 자세 있잖아요. 그게 또 당의 기조국에서 유권 해석을 해서 이건 고의가 아니니까 사고니까 직무대행하자. 지금 거기로 가는 게 법원의 취지다. 저는 뭐 법률전문가가 아니라 거기에 대한 해석이 또 다를 수는 있을 텐데 글쎄, 저는 그 대표 직무대행으로 해서 가서 최고위원 보궐선거해서 뽑고 그렇게 하는 거 하고 아닌 거 하고 뭔 차이가 있는지. 가령 윤심이 됐든 뭐가 됐든 저는 납득이 안 가요. 그냥 그렇게 가면 될 거 아니에요. 그리고 또 그 많은 중진들이 그러한 제안을 지금 하고 있잖아요. 그런데 왜 굳이 그렇게 새로운 비대위를 하는 게 여러 가지 법적 리스크도 있고 한 모양인데 그런다고 이준석 대표가 한편으로 민심에서 조금 인기가 올라간 부분도 있지만 또 지나치다고 하는. 그리고 또 당에서는 견제 심리, 당의 반발심은 좀 크잖아요? 그렇게 두려워하는 건지 저는 이해가 안 가요.
 
▷ 주영진/앵커: 안철수, 윤상현, 최재형 이런 분들.
 
▶ 유인태/전 국회 사무총장: 서병수.
 
▷ 주영진/앵커: 하태경, 서병수 의원 다 그렇게 얘기하고 있는데 그런데 말이죠. 민주당에서는 이런 일 있었나 저도 생각을 한번 곰곰히 해봤는데 중진들이 그런 의견을 피력했는데 국민의힘 초재선 의원들이 중진의원들을 아주 강하게 비판을 하는 그런 성명을 또 발표하더라고요.
 
▶ 유인태/전 국회 사무총장: 그게 참 보면 슬프더라고요. 이게 말하자면 우리처럼 초선이 물갈이가 이렇게 많이 되는 게 결국 정치 혐오 때문에 평균 50% 정도가 국회의원이 물갈이되잖아요. 그러니까 대개 처음에 들어온 소위 초자들은 기개와 열정 이런 게 있어서 오히려 당 지도부에 쓴소리도 하는데 이번에 완전히 거꾸로 돼 가지고 중진들이 바른 소리하는데 그런 소리 하는데 그러면 무슨 항명이니 무슨 해당 행위니. 역대 어느 당이고 소장파, 개혁파라고 하는 게 있었잖아요. 다 대개 초선 때 시작해서 당의 역동성도 불러오고 이랬던 거 아니에요.
 
▷ 주영진/앵커: 출발점은 17대 열린우리당의 백팔번뇌로 불렸던 초선의원.
 
▶ 유인태/전 국회 사무총장: 백팔번뇌도 있었고 그전에 천신정도 있었고 한나라당 계열로는 남원정도 있었고 다 그 사람들 초선 때 그래도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켰잖아요. 그런데 지금 하나도 그런 세력이 보이질 않는 게 저는 구슬프더라고요.
 
▷ 주영진/앵커: 집권당이 되면 대통령과 당 지도부 이렇게 해서는 안 됩니다. 국민으로부터 외면받습니다는 목소리를 내왔었는데 이번에 국민의힘에서는 오히려 초재선들이 대통령과 당 지도부 편에 선 듯한 모습을 보이는 게 이해가 안 된다 그런 말씀이십니까?
 
▶ 유인태/전 국회 사무총장: 그렇죠. 오히려 중진들이 도리어 더 입바른 소리는 거기서 나오더라고요.
 
<주영진의 뉴스브리핑><button class= 이미지 확대하기
유인태 전 국회 사무총장" data-captionyn="N" id="i201697527" src="https://static.sbsdlab.co.kr/image/thumb_default.png" class="lazy" data-src="//img.sbs.co.kr/newimg/news/20220901/201697527_1280.jpg" style="display:block; margin:20px auto" v_height="720" v_width="1280">
▷ 주영진/앵커: 이준석 전 대표가 만약에 유인태 전 의원에게 조언을 구한다면 뭐라고 얘기하시겠어요? 이쯤하면 됐다고 얘기하시겠어요 잘하고 있다고 얘기하시겠어요?
 
▶ 유인태/전 국회 사무총장: 좀 더 성숙해져야 되지 않겠습니까. 가처분 인용이 되고 했으면 명예회복은 된 거거든요. 그런데 가령 모르겠습니다만 앞으로 선거 제도가 어떻게 바뀔지는 몰라도 현행 선거 제도 하에서는 기호 1, 2번만 생존할 수 있는 생태계 아닙니까?
 
▷ 주영진/앵커: 그렇죠.
 
▶ 유인태/전 국회 사무총장: 자기들은 지금은 이제 기호 2번이기는 합니다만 그 보수 정당에서 정치를 하려고 하면. 그래도 좀 너무 너무 나가면 과연 다시 이렇게 재기를 하는데 걸림돌이 되지 않겠냐. 그러니까 적절한 선에서 좀 명예롭게 후퇴할 줄도 알아야 된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지금 저쪽이 하는 모습으로 봐서는 이준석 대표도 저렇게 갈 수밖에 없다 그렇게 보입니다.
 
▷ 주영진/앵커: 이해는 하는데 이쯤하면 됐다는 뜻이네요.
 
▶ 유인태/전 국회 사무총장: 아니, 그러니까. 아니, 이쪽에서 가령 말하자면 아까 말하는 대표 직무대행이고 가서 최고위원을 이렇게 한다고 그런 식으로 순리대로 갔으면 저는 그 정도에서 이준석 대표도 조금 명예롭게 후퇴할 수 있는 길이 열릴 수도 있었는데 저렇게 지금 순리를 아주 어기고 있지 않습니까? 저기서 다시 비대위를 하겠다고 하면. 그러면 이준석 대표도 좋다. 워낙 쌈닭 아니에요. 좋다 그러면 나도 한번 끝까지 붙어보겠다. 지금은 그럴 수밖에는 없을 거라고 보이네요.
 
▷ 주영진/앵커: 하여튼 못봤던 장면이어서 집권하자마자 이렇게 집권 당대표가 징계를 받고 또 집권당 대표가 다시 돌아올 수 없는 길을 만들기 위해서 비상대책위원회가 구성이 되고 법원이 그건 안 된다고 지적을 하고. 이런 혼돈스러운 상황에 지금 여당, 여권 대통령 여당뿐만 아니라 사실 이게 국민들도 자칫하면 피해를 볼 수 있는 상황이잖아요. 여당이 혼란스러우면 제대로 이제 정기국회가 시작이 되는데.
 
▶ 유인태/전 국회 사무총장: 그렇죠. 그러게요. 윤 대통령이 아주 이준석 대표에 대해서는 대선 과정에서 쌓인 원한이 아주 컸던 모양이에요. 그걸.
 
▷ 주영진/앵커: 대통령은 당무에 관여하지 않는다고 얘기를 하는데 이런 상황이 오는 데는 어쨌든 대통령의 의중도 반영이 됐다라고 보십니까?
 
▶ 유인태/전 국회 사무총장: 당무에 관여 안 한다는 말 믿는 국민이 하나하나 있겠어요? 그것도 여러 가지 나오는 걸로 봐서. 오히려 전부 윤심이라고 봐야죠. 아니, 권성동 원내대표는 처음에 이건 사고다 이래서 직무대행할 때 그 비대위 하자고 저렇게 밀어붙인 것도 다 윤심으로 알려져 있지 않습니까? 당무에 관여 안 하기는 뭘 안 해. 직접 전화까지 하고 의원들한테 했다고 그러는데.
 
▷ 주영진/앵커: 그 이야기를 왜 이렇게 웃으시면서 하십니까?
 
▶ 유인태/전 국회 사무총장: 너무 딱해서 그래요. 거기서 잘돼야지 그래도 우리나라가 어려운데.
 
▷ 주영진/앵커: 대통령이 결국은 정치인이죠?
 
▶ 유인태/전 국회 사무총장: 정치인이 된 거죠.
 
▷ 주영진/앵커: 정치인이 된 거죠?
 
▶ 유인태/전 국회 사무총장: 최고의 정치인이 대통령 아닙니까?
 
▷ 주영진/앵커: 그러면 정치를 잘해야 되는 거죠?
 
▶ 유인태/전 국회 사무총장: 그렇죠, 잘해야죠.
 
▷ 주영진/앵커: 그런데 여의도 정치에 대한 반감 이게 우려스럽다는 얘기는 문재인 전 대통령 때부터 하셨던 말이죠.
 
▶ 유인태/전 국회 사무총장: 그렇죠.
 
▷ 주영진/앵커: 어떻게 보세요, 윤석열 대통령은.
 
▶ 유인태/전 국회 사무총장: 아니, 이번에 청와대 인사 개편. 그런데 지금 지지율 하락하고 한 게 여론조사에서 쭉 뭐 때문이냐고 물어본 문항에서 대부분이 대통령과 대통령 배우자 리스크 이거라고 하는 거는 이미 밝혀졌지 않습니까? 그리고 그때는 인사가 제일 큰 문제로 했잖아요. 그런데 우리 국민들이 과연 지금 무슨 비서관, 행정관, 인사 잘못했는지 안 했는지 누가 알아요? 오히려 그때는.
 
▷ 주영진/앵커: 누구인지 모르죠.
 
▶ 유인태/전 국회 사무총장: 잘 모르잖아요, 지금. 그리고 너무 그 요직에 검찰 출신을 많이 쓴 거. 그리고 무슨 경찰서장 회의를 갔다가 하나 쿠데타했던 뭐 이런 사람을 해당 부처 장관을 시킨 거 이런 인사들이 잘못됐다고 지적한 거거든요. 원인을 알면 처방을 제대로 해야 하는데 오히려 지금 아마 검핵관이라고 요새 그렇게 불리는 사람들은 지지율 하락의 원인이 저 여의도 출신들이 와서 일을 잘못해서 또 그것도 수석은 놔두고 그 밑에 비서관 행정관. 그래서 장제원 의원이 지금 희생양이 된 거 아닌가. 인사 당선자 비서실장으로 인사에 제일 깊이 관여했던 거니까. 이 장제원이 잘못해서 지금 지지율이 이렇게 떨어졌다. 아마 검핵관들의 인식은 그런 게 아닌가.
 
▷ 주영진/앵커: 그런 구도를 결과적으로 만들어냈다.
 
▶ 유인태/전 국회 사무총장: 예. 그리고 그 얘기는 벌써부터 돌았어요. 장제원이 곧 간다. 지금 대통령 지지율. 그래서 저는 그거는 진단이 아주 잘못됐다고 보죠.
 
<주영진의 뉴스브리핑><button class= 이미지 확대하기
유인태 전 국회 사무총장" data-captionyn="N" id="i201697528" src="https://static.sbsdlab.co.kr/image/thumb_default.png" class="lazy" data-src="//img.sbs.co.kr/newimg/news/20220901/201697528_1280.jpg" style="display:block; margin:20px auto" v_height="720" v_width="1280">
▷ 주영진/앵커: 그런데요. 지금 말씀 듣다 보니까 저도 정치부를 오래 취재를 하지 않았습니까? 대통령이 위기 상황에 몰렸을 때 대통령을 지켜주고 대통령의 지지율을 회복하기 위해서 정말로 헌신적으로 일할 수 있는 사람들이 직업공무원, 이른바 늘공일까요 아니면 정무직 공무원 어공일까요? 어떻게 보세요? 물론 둘이 다 협력해야 되긴 하겠습니다마는.
 
▶ 유인태/전 국회 사무총장: 하지만 그래도 그건 어공이죠.
 
▷ 주영진/앵커: 정무직 공무원.
 
▶ 유인태/전 국회 사무총장: 그러니까 정무직 공무원이.
 
▷ 주영진/앵커: 그런데 지금 정무직 공무원들은 오히려 쫓아내는 듯한 모양새예요.
 
▶ 유인태/전 국회 사무총장: 글쎄 100일 동안 그 사람들이 뭘 얼마나 잘못했는지 팩트를 알지 못하는데 과연 그 사람들을 검증해서 뭘 쓰라고 해서 그래서 저렇게 솎아내는 게 검찰 출신들이라는 거 아닙니까? 또 그 부서 요직에 다 검찰 출신이 있고. 나는 참 점점 더 꼬여갈 것 같아요.
 
▷ 주영진/앵커: 제가 그제 인사 관련 얘기 들으면서 정무수석실에 정무1비서관, 2비서관이 사의 표명 형식으로 사실상 그만뒀는데.
 
▶ 유인태/전 국회 사무총장: 정무1비서관은 친한 친구 아니에요?
 
▷ 주영진/앵커: 네.
 
▶ 유인태/전 국회 사무총장: 여기 출신이고.
 
▷ 주영진/앵커: SBS 출신, 국회의원 한 번 지냈던 홍지만 전 의원. 그런데 제가 당장 든 생각이 왜 1비서관, 2비서관이 사실상 핵심인데 그러면 비서관이 그만두고 수서관은 왜 그냥 있지 하는 질문을 했더니 그때 패널도 답변을 잘 못하기는 했어요, 정확하게. 그런 부분들이 지금 국민의힘 보좌진, 지금 윤석열 정부를 떠받치고 있고 우리가 만들었다고 나름대로 자부심을 갖고 있는 여당의 보좌진, 여당의 지지층에게 미치는 메시지가 그렇게 긍정적이지 않을 있다는 그런 우려의 말씀이십니까?
 
▶ 유인태/전 국회 사무총장: 그렇죠. 더군다나 김무성 대표 같은 경우에는 괜히 이름을 올렸다가 또 뭐.
 
▷ 주영진/앵커: 그렇죠, 내정 사실을 발표했다가.
 
▶ 유인태/전 국회 사무총장: 그러니까 저는 지금 청와대가 아니라 대통령실의 인사 라인, 검증 라인이 전부 검사들로 되어 있는데 오히려 차라리 저는 민정수석실을 부활해서 좀 체계적으로 검증도 하고 그러면 저런 식의 사고들은 좀 미연에 예방할 수 있었을 거라고 봅니다.
 
▷ 주영진/앵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정수석실, 제2부속실은 다시 부활시키지 않겠다는 게 대통령의 확고한 생각인 것 같아요.
 
▶ 유인태/전 국회 사무총장: 글쎄, 다른 공약들은 번복한 게 한두 가지가 아니잖아요. 그런데 그거는 왜 그렇게 번복하는지 모르겠어요.
 
▷ 주영진/앵커: 알겠습니다. 유인태 전 의원과의 인터뷰였는데 건강 조심하십시오. 어깨뼈가 골절됐다고 들었는데 수술 잘 받으시고요. 이 상태로 나오실 수 있는 거죠?
 
▶ 유인태/전 국회 사무총장: 네.
 
▷ 주영진/앵커: 알겠습니다. 다음에 또다시 뵙겠습니다.


※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BS 디지털뉴스국)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