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강바닥 드러나자 뜻밖의 선물이…네로 황제 다리 등 유적 드러나

8월 3일(현지시간) 스페인 카세레스주 발데카나스 저수지에서 모습을 드러낸 고인돌 유적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500년 만에 유럽을 강타한 최악의 가뭄으로 강이 바짝 마르자 오랜 시간 강바닥에서 잊혔던 고대 유적이 속속 모습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가뭄으로 바닥을 드러낸 유럽의 강과 저수지 바닥에서는 7천 년 전 스페인판 '스톤헨지'와 청동기 시대 건물터, 로마의 네로 황제가 건설한 다리 등 다양한 인류문화 유산들이 발견됐습니다.

21일 일간 가디언,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스페인 서부 카세레스주 발데카나스 저수지에서는 이달 초 수백 개의 선사시대 돌기둥이 신비한 자태를 드러냈습니다.

스페인판 스톤헨지, 공식적으론 '과달페랄의 고인돌'(Dolmen of Guadalperal)로 불리는 이 유적은 이베리아반도의 건조한 날씨로 저수기 수위가 총량의 28%까지 내려가자 저수지 한쪽에서 그 모습을 완전히 노출했습니다.

스페인 저수지에서 모습을 드러낸 '과달페랄의 고인돌'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7천 년 전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이 유물은 1926년 독일 고고학자가 최초로 발견했으나 1963년 프랑코 독재정권 치하에서 농촌 개발 프로젝트로 댐이 만들어지면서 침수됐습니다.

그 후로 고인돌이 모습을 드러낸 것은 4번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스페인 북서부 갈리시아 지역에서는 올봄부터 기원후 69∼79년에 건설된 로마의 요새가 다시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저수지가 조성되면서 1949년에 물 아래로 잠겼던 이 유적은 현재 2만4천㎡ 규모의 면적 전체가 드러난 상태입니다.

이와 함께 이곳에선 30년 전 저수지 건설로 수몰된 아세레도 마을이 옛 모습을 드러내 관광객을 끌고 있습니다.

수몰됐다 가뭄에 모습 드러낸 스페인 아세레도 마을 (사진=AP, 연합뉴스)

엘베강이 흐르는 체코 북부 데친에서는 '기근석'(hunger stones)이 등장했습니다.

강바닥이 보일 정도로 강물이 메마를 때 사람들이 이 기근석을 찾아 날짜와 자신들의 이름을 새겼습니다.

데친의 기근석 위에 새겨진 연도를 보면 1417년과 1473년은 아주 희미하게 남아있지만 1616년, 1707년, 1893년 등은 아직도 분명하게 보입니다.

독일에서도 라인강이 흐르는 프랑크푸르트 남쪽의 보름스와 레버쿠젠 근처의 라인도르프 등지에서 기근석이 모습을 다시 나타냈습니다.

이탈리아에서는 포강의 수위가 7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북서부 피에몬테에서 고대마을의 유적이 나타났습니다.

또 롬바르디아 오글리오강에서는 청동기 시절 목재 건축물 토대가 나왔고 인근 코모호수 바닥에선 10만 년 전의 사슴 해골과 하이에나, 사자, 코뿔소의 잔해가 발견됐습니다.

로마 티베르강에서는 네로 황제가 건설한 것으로 추정되는 다리 유적이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이 다리는 네로 황제가 강 건너편에 있는 자신의 모친 아그리피나의 저택에 편하게 가려고 만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로마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다리 밑 티베르강 다리 유적 (사진=AP, 연합뉴스)

노르웨이에서는 빙하가 녹으면서 철기 시대의 양털 옷과 로마시대 샌들, 1천300년 전의 화살 등이 발견됐습니다.

메마른 강바닥에서 나오는 것은 고대 유적만이 아닙니다.

세르비아 항구도시 프라호보 인근 다뉴브강에서는 2차 대전 때 탄약과 폭발물이 실린 채로 침몰한 독일 군함 20여 척이 발견됐습니다.

이탈리아 포강에선 2차 대전 당시 침몰한 화물선과 나치 군용차 등도 발견됐습니다.

450kg에 달하는 대형 폭탄이 발견됐을 땐 해체를 위해 인근 주민 3천 명이 일시 대피하기도 했습니다.

빙하가 녹고 있는 유럽 산악지역에서는 반세기 넘게 묻혔던 유골 등이 잇달아 발견되고 있습니다.

스위스 남부 헤셴 빙하 등지에서는 1970∼1980년대에 숨진 것으로 추정되는 등반객 3명의 유골이 수습됐습니다.

중국에서도 기록적인 폭염과 가뭄으로 강바닥에서 600년 전 불상이 발견되는가 하면 세계 최대 옛 석불인 러산대불(樂山大佛)이 전체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21일 중국신문망 등에 따르면 쓰촨성 러산시 양쯔강 상류 민장강, 칭이강, 다두강이 합쳐지는 지점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러산대불의 받침대가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러산대불은 평소에는 강 수위가 높아 받침대를 볼 수 없으며 비가 많이 올 때는 발까지 물에 잠기기도 합니다.

링윈(凌雲)대불이라고도 불리는 러산대불은 당나라 시기 민강(岷江) 옆 높은 절벽을 깎아 만들었습니다.

높이가 71m에 달하는 중국 최대 석불입니다.

600년 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불상이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쓰촨성 충칭시 양쯔강 유역에서 발견된 이 불상은 커다란 바위의 가운데 부분을 파낸 뒤 만든 것으로 보입니다.

연꽃 받침 위로 약 1m 크기의 불상이 있고 양옆으로는 상대적으로 작은 불상 2개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불상은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하고 학술 가치도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