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4대 시중은행, 3년간 금리 인상하며 임원들은 1,000억 성과급 잔치"

"4대 시중은행, 3년간 금리 인상하며 임원들은 1,000억 성과급 잔치"
▲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우리·하나)이 지난 3년간 금리를 점차 올리면서 얻은 이익으로 임원들에게 총 1,000억 원이 넘는 성과급을 지급한 걸로 나타났습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종민 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20년부터 올해 5월까지 4대 시중은행(국민·신한·우리·하나) 임원들이 수령한 성과급은 총 1,083억 원이었습니다.

김종민 의원실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성과급을 받은 임원을 은행별로 보면 우리은행이 455명으로 가장 많았고, 신한은행 238명, 국민은행 218명, 하나은행 136명 순이었습니다.

총 성과급 역시 우리은행이 347억 4,000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국민은행이 299억 원, 신한은행 254억 원, 하나은행이 183억 원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이에 대해 우리은행 측은, "제공된 수치는 퇴직 임원에게 지급한 장기 성과급 등을 포함한 것으로, 이를 제외하고 다른 은행과 동일 기준으로 산정할 경우, 221명에게 176억 원이 지급됐다"라고 설명했습니다.

국민은행의 한 임원은 2020년에만 12억 원의 성과급을 받기도 했습니다.

같은 해 우리은행 임원은 최대 6억 1,000만 원, 신한은행 임원은 최대 3억 1,100만 원을 성과급으로 각각 받았습니다.

해당 기간 4대 시중은행은 신규 대출에 대한 금리를 꾸준히 올려 나갔습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2020년 5월 최저수준인 0.50%까지 떨어졌었다가 2021년 8월부터 상승기에 들어갔습니다.

하지만, 이들은 이를 선반영한다며 금리를 미리 인상했습니다.

김종민 의원은 "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의 글미 상승 폭이 가장 컸다"라며, "대출금리 상승으로 서민들은 이자 상환도 어려운 상황에서 시중은행들이 성과급 잔치를 했다는 사실에 유감"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연일 언론을 통해 금융권 실적이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한다"며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예대금리차 해소를 위해 금융당국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고, 국회에서도 관련 법률 및 제도 개선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