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이스라엘 총리의 '천기누설'…핵무기 보유 이례적 암시

이스라엘 총리의 '천기누설'…핵무기 보유 이례적 암시
▲ 야이르 라피드 이스라엘 임시 총리

이스라엘의 핵무기 보유를 암시하는 이례적인 발언이 이스라엘 총리 입에서 나왔다고 2일(현지시간) CNN 방송이 보도했습니다.

야이르 라피드 이스라엘 임시 총리는 1일 이스라엘원자력위원회(IAEC) 신임 위원장 취임식에 참석, 이스라엘의 핵능력을 시사하는 '다른 능력'을 언급하며 핵무기 보유를 인정하는 듯한 말을 했습니다.

라피드 임시 총리는 "우리의 (군사)작전 무대는 방어력과 공격력, 그리고 해외 매체에서 '다른 능력'이라고 부르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면서 "이러한 '다른 능력'은 우리를 생존하게 하며, 우리와 우리의 아이들이 이곳에 있는 동안 우리를 존속하게끔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스라엘은 이미 1960년대에 핵 기술을 개발해 핵무기 수백 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핵무기 보유국으로 추정되는 다른 나라들과 달리, 그동안 이스라엘은 단 한 번도 핵무기 보유 사실을 공식적으로 선언하지 않았습니다.

라피드 임시 총리의 이번 발언이 이례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이유입니다.

그동안 이스라엘은 핵과 관련해 '전략적 모호함'을 추구해왔다고 CNN방송은 설명했습니다.

이스라엘의 지도자들은 이스라엘의 핵무기 보유 여부를 밝혀야 하는 난처한 상황에 놓일 경우 모호하거나 완곡한 표현을 사용해 왔습니다.

대표적으로 1960년대 초 당시 국방부 차관이었던 시몬 페레스는 "이스라엘은 이 지역에 핵무기를 도입하는 최초(국가)는 아닐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올메르트 에후드 전 총리(2006∼2009년 재임)는 독일 TV에서 미국, 러시아, 프랑스와 함께 이스라엘을 열거하면서 이스라엘의 핵무기 보유를 인정하는 듯한 발언을 했다가 이후 자신의 언급을 철회하려 했습니다.

베냐민 네타냐후 전 총리 역시 내각 연설에서 이스라엘을 '핵보유국'이라고 지칭했다가, '에너지원'에 대해 말한 것이라며 발언을 정정한 바 있습니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한동안 침묵을 지켜온 나프탈리 베네트 전 총리도 참석해 핵과 관련한 언급을 했습니다.

베네트 전 총리는 "1년 전 우리는 이란의 핵 문제를 다루기 위한 대비책을 강화하는 것으로 목표로 일련의 결정을 내렸다"며 "우리의 밤잠을 설치게 하는 (이란과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 엄청난 양의 자원을 배정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