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치킨게임'으로 치닫는 펠로시 타이완 방문…美中 셈법은

'치킨게임'으로 치닫는 펠로시 타이완 방문…美中 셈법은
미국 권력 서열 3위인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 의장의 타이완 방문 여부를 둘러싼 미국와 중국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타이완 언론은 펠로시 의장이 오늘(2일) 밤 타이완에 도착할 것이라고 보도하고 있습니다.

타이완을 자국 영토로 간주하는 중국은 펠로시 의장의 타이완 방문을 저지하기 위해 무력 사용 가능성까지도 암시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미국도 펠로시 의장에 대한 보호 조치를 다 할 것이라는 입장을 천명하면서 양국 간 갈등은 어는 한쪽도 양보할 수 없는 '치킨 게임' 양상으로 치닫는 분위기입니다.

양국 사이의 긴장이 전례없이 고조된 것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기존 경쟁관계에 더해 펠로시 의장의 타이완 방문이라는 사안 자체가 지닌 정치적 폭발성 때문입니다.

펠로시 의장은 타이완 방문을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의 국내 여론이 요동칠 수 있고, 양국 정부의 손익도 극명하게 갈라진다는 것입니다.

일단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입장에서 펠로시 의장의 타이완 방문은 3연임을 확정하는 가을 당 대회를 앞둔 상황에서 그냥 두고 볼 수 없는 변수입니다.

시 주석은 타이완 통일에 대해 '평화통일을 지향하나 무력에 의한 통일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고, 그럴수록 타이완 민진당 정권은 중국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기 위해 미국과의 협력을 강화해왔습니다.

이 때문에 타이완 해협은 언제든 터질 수 있는 미중 권력서열 3위인 펠로시 의장이 타이완을 방문하는 것은 현재의 위태로운 균형을 깨는 행위라는 게 중국의 인식입니다.

또 시 주석이 가을 당 대회에서 3연임을 확정하면 타이완 통일은 그의 향후 재임 기간 국정 어젠다의 최상위 순위를 차지할 것이라는 게 많은 관측통의 예상입니다.

결국 시 주석으로선 자신의 '대관식' 분위기를 흔들 펠로시의 타이완 방문을 저지하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 불발될 경우에는 미국과 타이완 관계가 펠로시 방문을 넘어서 진전하는 것에 쐐기를 박기 위해 군사력이 개입된 전례없는 수위의 무력 시위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반면 조 바이든 대통령 입장에선 펠로시 의장의 타이완 방문이 무산된다면 안 그래도 불안한 11월 중간선거에서 더 큰 타격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아울러 중국 지도부로서는 펠로시의 타이완 방문을 막을 수 없다면 당 대회를 앞두고 반미를 기치로 국론을 집결할 소재로 적극 활용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옵니다.

미국이 중국의 협박에 굴복했다는 비판 여론에 노출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에 비해 중국에 약한 모습을 보인다는 비판에 종종 휘말렸습니다.

당초 바이든 대통령은 펠로시 의장의 타이완 방문에 부정적 뉘앙스를 풍기는 등 중국과의 갈등 상황을 피하려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백악관은 최근 펠로시 의장이 중국의 위협을 받지 않고 안전하게 타이완을 방문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다 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이 같은 분위기는 미국 정치권과 여론의 움직임을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처럼 미중 양국이 모두 타협과 양보의 여지를 보이지 않고 있는 상황은 결국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에게도 부담이 될 전망입니다.

1995년 리덩후이 당시 타이완 총통이 미국을 방문했을 때 중국은 타이완 인근 해역에 미사일 2발을 발사하고 미국이 항공모함 2대를 보내는 식으로 응수한 끝에 갈등이 마무리됐습니다.

1997년 뉴트 깅그리치 전 하원의장이 중국 방문 뒤 타이완을 찾았을 때는 중국 외교부가 비판 성명을 내는 선에서 그쳤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