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온난화로 북반구 '녹화' 현상…30년간 여름 기온 0.15도 낮춰"

"온난화로 북반구 '녹화' 현상…30년간 여름 기온 0.15도 낮춰"
▲ 봄, 여름, 가을의 식생변화(상단)와 기온변화(하단) 

지구온난화로 인한 북반구 식생 생장기간 연장이 여름철 북반구 기온을 소폭 낮추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국제 공동연구팀이 규명했다고 서울대가 28일 전했습니다.

연구진에 따르면 지구온난화로 인해 북반구에서 봄철 새잎이 나는 시기가 앞당겨졌고, 가을에는 단풍이 드는 시기가 늦어지면서 연간 식생의 생장기간이 늘어났습니다.

식생이 녹색을 유지하는 기간이 늘어난 만큼 광합성을 통한 탄소 흡수 기간과 증발산, 태양에너지 반사, 바람의 변화 등으로 기온 변화를 유도하는 기간도 늘어 온난화 현상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추정돼 왔지만, 정확한 영향은 그간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서울대 환경대학원 정수종 교수 연구팀과 중국 베이징대, 프랑스 기후환경과학연구소(LSCE), 미국 컬럼비아대 연구진이 참여한 국제 공동연구팀은 지구온난화에 따라 식물의 계절 활동이 변하며 발생한 '녹화' 현상이 지난 30년간 여름철 북반구 평균기온을 0.15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는 점을 밝혀냈습니다.

연구진은 "산업화 이후 지구 평균기온이 1.1도 상승한 것을 고려하면 식생을 통한 온난화 저감효과는 적지 않은 효과"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연구 결과로 밝힌 온난화 저감효과는 탄소흡수를 통한 온난화 저감효과를 고려하지 않아 만약 탄소흡수에 따른 온난화 저감효과까지 포함한다면 북반구 녹화는 훨씬 더 강한 온난화 저감효과를 가져왔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최근 게재됐습니다.

(사진=서울대학교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