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스타벅스 증정품 발암물질 검출 · 부적절 조치 논란…인체 영향은

스타벅스 증정품 발암물질 검출 · 부적절 조치 논란…인체 영향은
스타벅스 코리아가 고객 증정품인 '서머 캐리백'에서 발암물질인 폼알데하이드가 검출됐다고 공식 인정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특히 스타벅스는 지난 11일 서머 캐리백에서 폼알데하이드 성분이 검출됐다는 시험 성적서를 확인했음에도 이후 1주일간 더 제품 증정을 이어간 것이 드러나 '부적절 조치'를 둘러싼 비판도 나오고 있습니다.

스타벅스는 오늘(28일) 고객 사과문을 통해 폼알데하이드 검출 시험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국가공인기관에 직접 검사를 의뢰한 결과 폼알데하이드 수치는 개봉 전 제품 외피에서 284mg/kg∼585mg/kg(평균 459mg/kg), 내피에서 29.8mg/kg∼724mg/kg(평균 244mg/kg)로 측정됐다고 밝혔습니다.

개봉 후 2개월이 지나 휘발성 물질인 폼알데하이드가 어느 정도 사라진 제품의 경우에도 외피에서 106mg/kg∼559mg/kg(평균 271mg/kg), 내피에서 최대 23.3mg/kg(평균 22mg/kg)까지 검출됐다고 밝혔습니다.

국가기술표준원 고시에서 가정용 섬유제품 안전기준은 폼알데하이드는 팬티·잠옷·양말 등 내의류와 바지·치마·장갑 등 중의류는 75mg/kg 이하이고,코트·모자·넥타이 등 외의류 및 침구류는 300mg 이하입니다.

가방, 쿠션류, 방석류, 모기장, 커튼, 수의 등은 유해물질 안전요건 적용 대상 제품에서 빠져 있습니다.

국기기술표준원 관계자는 "스타벅스 자료를 두고 당장 인체에 어떤 영향이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고 별도로 전문가 검토를 거쳐 적절한 안전 조치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이 관계자는 "가방처럼 인체와 붙어 있지 않으면 안전기준이 없는 경우가 있다"며 "하지만 안전기준이 없다고 해서 수치가 높아도 위험하지 않다는 뜻은 아니다"고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스타벅스가 지난 11일 폼알데하이드가 검출됐다는 시험 성적서를 확인했음에도 증정 행사를 즉시 중단하지 않고 예정대로 18일까지 이어갔습니다.

이달 초 캐리백에서 폼알데하이드가 검출됐다는 주장이 제기되자 스타벅스는 공급사에 사실 확인을 요청했고, 공급사가 실제로 시험기관 3곳에서 검사를 의뢰했음을 확인한 것으로 나났습니다.

스타벅스는 고객 사과문을 통해 "폼알데하이드가 가방류에서 안전 요건 적용 사항이 아님을 인지해 시험 결과 수치의 의미를 파악하고 교차 검증했다"고 해명했습니다.

이런 해명에도 불구하고 스타벅스가 발암물질 검출 사실을 인지하고도 제품 증정 행사를 이어간 만큼 소비자들의 비판은 쉽게 사그라지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시민단체들의 비난 성명도 이어졌습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보도자료를 내고 "이벤트를 빌미로 음료 구매를 유도해놓고 안일한 대응으로 사건을 무마하려 하고 있다"며 "캐리백을 전량 회수하고 소비자 피해조사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서울YMCA 시민중계실은 성명에서 "스타벅스는 사실관계를 확인하겠다며 회수를 지체해 피해를 더 확대했다"며 "문제 제품을 전량 회수하고 적절한 피해보상안을 내놓아야 한다. 산업통상자원부도 소비자 밀접 접촉 공산품에 대한 안전기준을 담은 국가기술표준원 고시 제정을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스타벅스는 이번 사태로 피해를 본 고객을 대상으로 새 굿즈를 제공하거나 3만원 상당의 이용권을 발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논란은 지난 5월 말 SNS 등에서 서머 캐리백에서 오징어 냄새 같은 악취가 난다는 민원으로 시작됐습니다.

당시 스타벅스는 일부 제품 원단의 인쇄 염료를 원인으로 지목하며 인체에 무해하다고 해명했습니다.

하지만 약 두 달 뒤인 지난 21일 한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에 자신을 FITI 시험연구원 직원이라고 밝힌 한 이용자가 "캐리백을 시험을 했고 폼알데하이드가 검출됐다"는 글을 올리면서 논란이 재점화했습니다.

FITI시험연구원은 섬유패션, 소비재, 산업, 환경, 바이오 분야 종합시험인증기관입니다.

(사진=스타벅스코리아 제공)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