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친절한 경제] 월급 2배 오를 동안, 서울 30평형 아파트는 4배 뛰었다

<앵커>

친절한 경제 시간입니다. 오늘(20일)도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지난 18년 동안 집값이 어느 정도 올랐는지 분석한 자료가 나왔다면서요.

<기자>

2004년부터 올해 5월까지 서울 12만 4천 세대 집값을 분석한 자료입니다.

30평형 기준으로 지난 18년간 4배 가까이 올랐는데요, 전 정권 때만 2배 넘게 뛰었습니다.

2004년 3억 4천만 원 하던 아파트가, 각 정권마다 등락을 거듭하다가 전 정권 직전인 2017년 5월 5억 9천900만 원을 기록했던 게, 전 정권 임기 말인 올해 5월에는 12억 7천800만 원으로 2배 넘게 뛰었습니다.

강남 3구와 비강남 격차도 15억 1천만 원까지 벌어졌는데, 18년 중 최고입니다.

18년 동안 집값이 4배 뛸 동안 노동자 임금은 얼마나 올랐을까요.

평균 1천900만 원에서 3천600만 원으로 늘어서 2배에 못 미쳤는데요, 지금 서울에서 30평형 집 사려면, 월급 한 푼도 안 쓴다고 치고 36년이 걸립니다.

18년 전보다 2배 더 걸리는 겁니다. 최근 집값 거품이 빠지고는 있지만, 내 집 마련 꿈꾸기는 쉽지 않은 수준입니다.

<앵커>

방금 이야기한 것처럼 최근 그래도 집값이 아주 조금은 좀 빠지고 있잖아요. 그런데 이 추세는 대부분 주간 단위로 봤던 거고, 월별로 봐도 집값이 좀 떨어지고 있다면서요?

<기자>

지난달 전국 집값이 전달보다 0.01% 떨어졌는데요, 전국적으로 월별 집값이 하락한 건 2019년 8월 이후 2년 10개월 만입니다.

주택 유형별로 보면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떨어져서 하락률이 0.1%를 기록했는데요, 직전 달인 0.05% 보다 낙폭을 키웠습니다.

집값 고점 인식이 퍼져 있는 데다가, 금리 인상으로 이자 부담 커지면서 매수 심리가 위축돼 집값이 떨어진 겁니다.

특히, 집값 상승폭이 컸던 수도권 아파트에서 거래량이 급감했는데, 지난달 서울에서 사고 팔린 아파트가 사상 처음으로 1천 건 이하로 떨어졌습니다.

<앵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들도 집값이 떨어지고 있는 추세라면서요?

<기자>

지금 세계 각국에서 물가 잡는다고 금리 인상하고 있잖아요. 코로나 때 치솟았던 글로벌 집값도 떨어지고 있습니다.

전 세계 주택 가격은 2020년과 21년 사이에 급등했는데요, 2020년 1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19%나 올랐습니다.

코로나로 망가진 경제를 살리겠다고 각국이 너도나도 경기 부흥책 쓰면서 금리를 제로금리 수준으로 떨어뜨렸죠.

돈 빌리기 쉬워지니까 부동산이다, 주식이다, 코인이다 해서 투자를 했고요.

특히 코로나 때 밖에 나가기 힘드니까 넓은 집 수요가 많아지면서 집값도 끝을 모르고 치솟았습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 압박이 커진 이후로는 각국이 금리를 올리고 있잖아요.

이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상황에서 집 사기 부담스러워지면서 집값 떨어지는 나라가 속출했고요. 

올해 1분기 세계 집값 상승률은 3.9%로 둔화됐습니다.

<앵커>

나라별로도 집값 하락세가 분명 좀 다를 것 같은데 지금 집값이 많이 떨어진 나라는 어디입니까?

<기자>

대체로 국가 경제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게 높은 나라인데요, 세계 집값 상승을 주도했던 캐나다, 뉴질랜드가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캐나다의 지난달 평균 집값은 올해 초 사상 최고치에 비해 8% 가까이 떨어졌는데요, 특히 캐나다 최대 도시인 토론토 평균 집값은 최고점이던 지난 2월에 비해서 약 20% 떨어진 상태입니다.

뉴질랜드 역시 지난해 말 사상 최고치보다 8% 급락해서 2020년 팬데믹 이후 월간 기준으로 가장 크게 떨어졌습니다.

다른 국가도 상황은 마찬가지인데요, 호주도 전달보다 1% 이상 하락했고요. 브라질, 칠레, 스페인, 핀란드, 인도에서도 집값 하락이 확인됐습니다.

특히, 외국인 투자가 많았던 미국 부동산도 주춤한 상태인데요, 지난해 4월부터 올해 3월까지 1년 동안 외국인에게 팔린 주택이 전년에 비해 8% 가까이 줄어들었는데, 2009년 통계를 집계한 이후 최저치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