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일 외교장관 "강제징용 조기 해결 필요" 공감대…구체적 의견 접근 '아직'

한일 외교장관 "강제징용 조기 해결 필요" 공감대…구체적 의견 접근 '아직'
박진 외교부 장관과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이 오늘(18일) 도쿄에서 외교장관 회담을 열고 강제 징용 배상 판결 문제를 서둘러 해결하는 게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했습니다.

외교부는 박 장관과 하야시 외무상이 오늘 오후 외교장관 회담 및 만찬을 통해 양국 간 현안과 공동 관심사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외교장관의 양자 차원 방일은 지난 2017년 12월 이후 4년 7개월 만입니다.

박 장관은 "회담에서 강제징용 판결과 관련해 일본 기업의 국내 자산 현금화가 이뤄지기 전에 바람직한 해결방안이 나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언급했다"고 외교부는 밝혔습니다.

한국 대법원은 2018년 10월과 11월에 각각 신일본제철과 미쓰비시중공업을 상대로 강제 동원 피해자들에게 배상하라는 내용의 확정판결을 내렸지만 이들 피고 기업은 배상 책임을 이행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강제적 자산 매각(현금화)을 위한 법적 절차가 진척돼 이르면 올가을 현실화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국은 피해자 측 관계자, 학계·법조계·경제계 등 전문가, 전직 외교관 등이 참여한 민관협의회를 구성해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해법을 모색하고 있지만, 아직은 해결안이 구체화하지 않았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회담 후 한국 기자들과 만나 "(박진 장관이 하야시 외무상에게) 민관협의회 주요 내용에 대해 충분히 설명했다"며 "외교부 장관이 민관협의회 내용을 자세하게 설명하는 것 자체에 의의가 있다. 일본 측은 경청하는 분위기였다"고 설명했습니다.

박진 한국 외교부 장관(왼쪽)과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

그는 "양국은 현금화는 안 된다는 인식을 엄중하게 공유한다"며 "현금화뿐 아니라 강제징용 문제의 궁극적 해결을 위해 일본과 협의를 계속하면서 해결책을 모색하자고 했다"고 전했습니다.

일본 외무성도 오늘 회담 뒤 낸 보도자료에서 "하야시 외무상이 1965년 (한일)국교정상화 이후 구축해 온 한일 우호 관계의 기반을 바탕으로 한일관계를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 옛 조선반도 출신 노동자('일제 강제동원 노동자'의 일본식 표현) 문제를 비롯한 한일 간 현안 해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고 밝혔습니다.

외무성에 따르면 박 장관도 현금화가 이뤄지기 전 바람직한 해결책이 나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으며 양국 외교장관은 이 문제를 조기에 해결하는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하지만 양국 장관 간 직접 회담에서도 현금화 전 조기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을 공유했을 뿐 강제노역 피해자들이 요구하는 일본 기업의 사죄와 배상 방법 등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 접근은 없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