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원·달러 환율 1,320원 선도 뚫었다…물가 인상 '부채질'

<앵커>

가뜩이나 어려운 우리 경제를 더 힘들게 하는 소식이 나라 안팎에서 계속 들리고 있습니다. 오늘(15일) 외환시장에서는 원·달러 환율이 13년 만에 1,320원을 넘어섰고, 나라 밖에서는 중국이 지난 2분기 성장을 거의 멈췄다는 통계가 나왔습니다. 오늘 금요일 뉴스는 답답하지만, 우리가 꼭 풀어야 할 경제 문제부터 집중적으로 다뤄보겠습니다.

첫 소식, 임태우 기자입니다.

<기자>

원·달러 환율은 외환시장이 열리자마자 1,320원을 넘어섰습니다.

그리고 한순간도 내려가지 않더니 어제보다 14원이나 뛴 1,326.1원에 장을 마쳤습니다.

2009년 금융위기 이후 13년 동안 넘은 적이 없었던 선이 뚫린 것입니다.

미국이 고물가를 잡겠다며 기준금리를 가파르게 올리고 있고, 경기 침체도 다가올 것으로 보여 금리 좋고 안전한 투자처인 달러 인기가 치솟고 있습니다.

[성태윤/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 한미 금리 역전이 심화될 것에 대한 우려가 번지고 있고요. 이 부분이 우리나라의 통화 가치 하락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고환율은 물가에는 악재입니다.

한국은행이 집계한 6월 수입물가지수는 이미 1년 전보다 33.6% 오르면서 역대 최고치까지 높아졌습니다.

그런데 환율이 지난달 평균 1,277원에서 50원 가까이 더 뛰었기 때문에, 이번 달 수입 물가는 또 최고치를 갈아치울 것으로 보입니다.

원료와 제품을 수입해 물건을 만드는 회사들은 얼마나 부담이 더 늘어날지 시름이 깊습니다.

[김수동/수입업체 대표 : 환율이 오른 만큼 바로바로 소비자 가격에 적용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마진이 줄어드는 그런 나비 효과가 생기는 것 같습니다.]

오른 환율이 물가를 자극하고, 치솟는 물가 때문에 금리를 더 올려야 하는 삼중고 악순환에 들어가면서 경기 침체 우려는 더 커지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김원배·김태훈, 영상편집 : 이승열)

▶ '봉쇄 직격탄' 맞았다… 중국 2분기 경제 성장률은 0.4%
▶ 달러 값 독주, 곳곳에 악재…'달러 스와프'가 대책 될까?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