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감사원, '월북 판단' 해경 간부 4명 조사…포렌식 착수

감사원, '월북 판단' 해경 간부 4명 조사…포렌식 착수
▲ 윤성현 전 해양경찰청 수사정보국장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 희생자인 고(故) 이대준 씨가 자진 월북했다고 판단을 내렸던 당시 해경 지휘부 4명에 대해 감사원이 조사에 착수하고 당시 전산 자료 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감사원은 사건 당시 지휘 라인에 있던 해경 간부 4명에 대해 최근 본격적으로 임의조사에 착수했습니다.

이에 따라 이들 4명은 대기발령 조치를 받았습니다.

이번 감사 선상에 오른 대상은 사건 당시 본청 수사정보국장이었던 윤성현 남해지방해경청장(치안감), 본청 형사과장이었던 김태균 울산해경서장(총경), 본청 정보과장이었던 강성기 동해지방해경청장(치안감), 인천해경서 수사과장이었던 옥현진 본청 외사과장(총경) 등입니다.

감사원은 당사자 동의를 받아 디지털 포렌식을 위한 컴퓨터 하드디스크 복제 작업을 개시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사건 직후 해경 내부뿐 아니라 청와대, 국방부, 해양수산부 등 관계 부처와 주고 받은 이메일, 공문 등 일체 자료를 복원해 당시 수사 과정을 들여다보고 적절성 여부를 따져보겠다는 겁니다.

감사 대상 중 윤성현·강성기 치안감은 지난달 24일 책임을 통감한다며 사의를 표명했습니다.

이에 대통령실은 즉시 언론 공지를 통해 "현재 감사원 감사 등 진상 규명 작업이 진행 중인 만큼 일괄 사의는 반려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해양경찰청, 해경 (사진=연합뉴스)

이번 감사원 감사와 함께 현재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1부에 계류된 사건 수사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피고발자 신분인 서훈 전 국가안보실장, 서주석 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장 등의 해경에 대한 직·간접적인 지시 여부가 드러날 경우 검찰 수사가 급물살을 탈 수 있습니다.

감사원 관계자는 "감사 진행 상황은 보안 사항이라 확인해주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해경은 지난 2019년 9월 발생한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과 관련해 고인이 자진 월북을 시도하다 북한군에 의해 사살됐다는 내용의 수사 결과를 발표했는데, 2년여 만인 지난달 16일 월북 의도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뒤늦게 입장을 번복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