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삼성전자, 악재 속 2분기 매출 77조 원, 역대 2번째…영업익 14조 원

삼성전자, 악재 속 2분기 매출 77조 원, 역대 2번째…영업익 14조 원
삼성전자가 올해 2분기에 역대 두 번째로 많은 77조 원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와 인플레이션(물가상승), 경기둔화에 따른 수요 위축 등 갖은 대내외 악재 속에서도 비교적 선방한 것입니다.

삼성전자는 오늘(7일) 2분기 연결기준 잠정실적을 집계한 결과 매출 77조 원, 영업이익 14조 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2분기 대비 매출은 20.94%, 영업이익은 11.38% 각각 증가했습니다.

매출의 경우 역대 최고치였던 1분기(77조7천800억 원)보다는 1% 감소했으나, 2분기 기준으로는 가장 많습니다.

영업이익은 1분기(14조1천200억 원)보다 0.85% 감소했고, 2분기 기준으로는 역대 세번째로 많습니다.

삼성전자의 이런 실적은 증권가 전망치(매출 77조567억 원, 영업이익 14조7천483억 원)와 비교할 때 매출은 거의 부합하고, 영업이익은 다소 밑도는 수준입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3분기에 분기 매출 첫 70조 원을 돌파한 뒤 올해 1분기까지 3개 분기 연속 역대 최고 매출 행진을 이어왔습니다.

오늘 부문별 세부 실적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반도체 부문 선방과 환율 효과가 실적을 견인했을 것으로 분석됩니다.

증권가는 삼성전자가 2분기에 반도체 부문에서 10조 원 안팎의 영업이익을 올린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중국의 주요 도시 봉쇄 등의 영향으로 PC용, 모바일용 수요는 약화됐지만, 데이터센터 투자 등 서버용 수요가 견조한 덕분입니다.

스마트폰과 가전은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 우려 등으로 수요가 줄면서 실적이 뒷걸음쳤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증권업계는 2분기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출하량이 6천100만 대 수준으로 1분기의 7천300만 대보다 1천만 대 이상 줄어든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TV 출하량은 900만 대로 전 분기 대비 28% 감소한 것으로 관측했습니다.

삼성전자가 대내외 악재 속에서도 2분기에 선방한 데는 환율 효과도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2분기 원/달러 평균 환율은 1,260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2%, 전 분기 대비 5% 급등했습니다.

올해 1분기 평균 환율(1205.0원)이 작년 4분기(1183.2원)보다 1.8% 올랐을 때 삼성전자는 영업이익에 기여한 환 효과를 3천억 원으로 추산했습니다.

이를 고려하면 2분기 환율 상승으로 인한 환효과는 8천300억 원가량으로 추산됩니다.

반도체는 달러로 거래돼 거래실적을 원화로 환산하면 매출과 영업이익은 늘어나게 됩니다.

스마트폰과 가전의 경우 원자잿값 및 운송비 부담이 커졌지만, 해외 생산기지에서 생산된 제품은 현지 통화로 거래돼 달러화 상승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을 어느 정도 상쇄한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전자의 향후 실적 전망은 불투명한 편입니다.

업계 관계자는 "2분기 후반부터 경기가 급속히 냉각된 측면이 있는데 아직 실적에는 반영되지 않은 것 같다"면서 "하반기부터는 본격적으로 반영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습니다.

무엇보다 삼성전자의 주요 먹거리인 메모리 가격 하락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D램 가격은 3분기에 2분기 대비 최고 10% 하락(트렌드포스 전망)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고, 낸드플래시 가격 역시 내림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3분기에는 삼성전자가 폴더블폰 신제품인 '갤럭시 Z 폴드4'와 '플립4'를 출시하는 만큼 신제품 효과를 누릴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에다 반도체 서버 수요는 견조할 것으로 전망되고,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도 수율(결함이 없는 합격품의 비율)이 안정되고 제품 가격이 오르는 추세여서 실적이 급격히 고꾸라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