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제2연평해전 20주년 승전 기념식 평택서 개최…'승전' 공식화

제2연평해전 20주년 승전 기념식 평택서 개최…'승전' 공식화
2002년 한일 월드컵 당시 북한군 기습 공격에 단호히 맞선 제2연평해전이 해군의 '승전' 역사로 기록됩니다.

해군은 오늘(29일) 오전 경기 평택 제2함대사령부에서 이종호 해군참모총장 주관으로 '제2연평해전 20주년 승전 기념식'을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해군은 통상 '기념식'으로만 불리던 행사 이름을 올해부터 '승전 기념식'으로 변경했습니다.

북한군의 기습적인 공격에 죽음을 각오한 결연한 의지로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사수한 승전으로 기록함으로써 제2연평해전의 의미를 제고하는 취지라고 해군은 설명했습니다.

기념비 명칭도 바꿉니다.

제2연평해전 전적비를 제2연평해전 전승비로 변경합니다.

전적비는 전투가 있었던 곳에서 그 사실을 기념하는 비석이고, 전승비는 전투에서 이긴 사실을 기념한다는 것으로 차이가 있습니다.

명칭 변경 이후 처음 열리는 이번 행사에 참전 장병과 유가족을 비롯해 이종섭 국방부 장관, 전·현직 국회의원 등 300여 명이 참석합니다.

승전 기념식 이후 유가족이 전사한 여섯 용사의 이름을 딴 유도탄고속함에 올라타서 해상 헌화하는 행사가 처음으로 열립니다.

앞서 지난 17일 한상국함·황도현함 해상헌화가 있었고 오늘은 윤영하함·조천형함·서후원함·박동혁함 해상헌화가 예정됐습니다.

유가족은 각자 전사자 이름을 딴 유도탄고속함에 탑승해 바다에 꽃을 띄우면서 전사자의 넋을 위로하며, 유도탄고속함 장병들도 헌화에 참여해 전우들을 추모합니다.

헌화 진행 중에는 서울대 명예교수인 오세영 시인의 추모시 '그대들의 눈동자는 조국의 밤하늘에서 반짝이는 별들이 되었고'가 낭독됩니다.

기념식 전날인 어제에는 이종호 총장 주관으로 참전 장병·유가족 등 초청 만찬이 열렸고 2함대 부대 체육관에서 승전 20주년 기념 호국음악회가 있었습니다.

제2연평해전은 2002년 6월 29일 오전 10시 북한 경비정 2척이 NLL을 침범, 우리 해군 참수리 357호 고속정에 선제 기습공격을 가하면서 발발했습니다.

우리 해군은 즉각 대응에 나섰고 윤영하 소령 등 6명이 전사했습니다.

북한군도 30여 명의 사상자를 내고 경비정이 화염에 휩싸인 채 도주했습니다.

당시 국방부는 '적의 기습공격을 격파한, 성공한 작전'이라고 평가했고 2008년 6주기 기념식에서 당시 한승수 총리는 "승리한 해전"이라고 말했습니다.

2002년 당시에는 서해에서 북한과 전투했다는 의미로 '서해교전'으로 명명했으나 전사자·참전 장병·유가족의 명예를 더욱 현양하고 합당하게 대우한다는 차원에서 2008년 제2연평해전으로 전투 명칭을 변경했습니다.

제2연평해전에서 전사한 6용사는 모두 유도탄고속함 함명으로 부활, 2함대에 배치돼 서해 NLL을 지키고 있습니다.

2007년 6월 28일 윤영하함을 시작으로 한상국함, 조천형함, 황도현함, 서후원함, 박동혁함이 차례로 진수했습니다.

제2연평해전 발발 20년이 지난 지금 서해는 450t급 유도탄고속함뿐 아니라 전투 능력이 크게 강화된 신형 호위함(FFG·3천100t급), 신형 고속정(PKMR·230t급) 등이 주력 함정이 돼 NLL을 지키고 있습니다.

한편 고 조천형 상사의 딸 조시은 씨는 2021년 8월 6일 부산 부경대 해군학군단에 지원해 합격했고 2025년 해군 소위로 임관할 예정입니다.

조 상사는 제2연평해전 당시 참수리 357호 20㎜ 벌컨포 사수로 참전했으며 북한군 공격에 끝까지 맞서서 함포 방아쇠를 잡은 채 전사해 투혼의 상징으로 꼽힙니다.

(사진=해군본부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