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국민 20명 중 1명 빼곤 코로나19 항체…자연 감염 항체 석 달 새 '0.6%→36%'

국민 20명 중 1명 빼곤 코로나19 항체…자연 감염 항체 석 달 새 '0.6%→36%'
국민 20명 중 1명을 제외하고는 백신 접종 또는 자연 감염으로 코로나19 항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따라 자연 감염에 따른 항체 양성률은 1월 0.6%에서 4월 36.1%로 뛰었습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지난 1∼4월 전국 16개 시도에서 10세 이상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자 1천6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19 항체 양성률 조사에서 전체 항체 양성률이 94.9%로 조사됐다고 오늘(14일) 밝혔습니다.

항체 양성률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S(spike) 항원, N(nucleoprotein)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를 보유했는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이뤄집니다.

S 항체는 자연 감염과 백신 접종 모두에 반응하고, N 항체는 자연 감염에만 반응합니다.

전체 기간 조사 대상자 중 S 항체 양성자는 1천530명(94.9%), N 항체 양성자는 241명(15.0%)로 나타났습니다.

월별로 보면 S 항체 양성자는 1월 93.2%, 2월 95.8%, 3월 95.8%, 4월 94.7%로 큰 변화가 없었으나 N 항체 양성자는 1월 0.6%, 2월 2.5%, 3월 16.5%, 4월 36.1%로 오미크론 유행과 함께 크게 늘었습니다.

4월 자연 감염으로 인한 항체 양성률인 36.1%는 같은 기간 10세 이상 전 국민 코로나19 누적 발생률인 29.5%보다 6.6%포인트나 높습니다.

방대본은 이에 대해 "지역사회 내 확진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자연 감염에 의한 항체 양성자뿐 아니라 미진단 감염자도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이번 조사는 월별로 조사 지역이 다르고 규모도 적으며 대상자의 연령이 10세 이상으로 설정돼 국민 전체를 대표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권준욱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오늘 브리핑에서 항체의 지속 기간에 대해 "교과서적으로는 자연 감염에 의한 항체는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본다"며 "세부 그룹별로 현재 연구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95%에 가까운 높은 항체 양성률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에는 여전히 보수적입니다.

임숙영 방대본 상황총괄단장은 "항체를 가지고 있어도 돌파감염이 되는 경우가 있고 완치 여부, 완치 시기 등에 따라 감염 가능성이 다르다. 신규 변이가 생기는 경우 돌파감염이 될 수 있다"며 "실내 마스크에 대해서는 조금 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방대본은 더욱 정확한 자연 감염자 규모 확인, 유행 위험 요인 분석을 위해 내달부터 대규모 전국 단위 항체 양성률 조사를 시작합니다.

전국 17개 시도의 5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분기별로 1만 명씩 올해 안에 3만 명을 목표로 진행됩니다.

이 조사에서는 항체 보유 여부뿐 아니라 기저질환 여부, 접종력, 내원 여부 등까지 조사·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대규모 항체 양성률 조사는 감염병 유행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고 방역 대응 수준 결정, 중환자 병상 수요 파악 등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앞서 정부는 5월 중 첫 조사에 착수해 6월 초부터 검체 채취와 분석을 진행, 7월에 첫 조사의 결과를 도출하겠다고 밝혔으나 행정 절차로 인해 일정이 미뤄졌습니다.

현재 주관 연구기관 선정을 위한 공고가 진행 중으로, 7월 초에 본격 조사에 착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