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윤 대통령, 교육 · 복지장관에 여성 우선 발탁 방침

윤 대통령, 교육 · 복지장관에 여성 우선 발탁 방침
윤석열 대통령이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와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에 여성을 우선 발탁할 방침입니다.

윤 대통령은 새 정부 내각에 여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일부 공감하고, 여성이라는 이유로 근무 평정 등에 불이익을 받아온 사례가 있을 수 있다고 보고 이 같은 방침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현재 18개 부처 중 16개 부처 장관이 임명됐으며, 그중 여성은 김현숙 여성복지부·이영 중소벤처기업부·한화진 환경부 장관 등 3명(19%)에 그칩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오늘(26일) 언론 통화에서 "윤 대통령이 남은 부처 장·차관을 임명할 때 전부 여성을 우선으로 고려하고, 정 없으면 그때 남성으로 하라고 지시했다"며 "교육부와 복지부 장관 후보자도 여기에 포함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윤 대통령이 고수해온 인사 원칙의 패러다임 전환을 의미합니다.

윤 대통령은 인수위 단계부터 '능력 중심의 인사'를 강조하며, 양성평등을 위해 내각의 30%를 여성으로 채우려고 했던 문재인 정부와의 단절을 선언했습니다.

여성 할당뿐 아니라 지역 안배도 고려하지 않겠다고 천명했고, '호남 홀대' 논란을 무릅쓰고 실제 이를 실천에 옮겼습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은 최근 21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단과 만찬 자리에서 "공직 인사에서 여성에게 과감한 기회를 부여하도록 하겠다"고 미묘하게 달라진 입장을 나타냈습니다.

여기에는 강인선 대변인의 '직언'이 작용했다는 게 대통령실 관계자들의 설명입니다.

윤 대통령이 특정 정무직 인사와 관련, "여성 후보자들의 평점이 낮다"고 언급하자 강 대변인이 "여성이어서 평가를 제대로 받지 못한 게 누적이 돼서 그럴 것"이라며 '배려'를 건의했다는 것입니다.

이에 "정신이 번쩍 들었다", "시야가 좁아서 그랬다"는 윤 대통령의 반응은 이후 강 대변인의 서면 브리핑을 통해 언론에 알려졌습니다.

인사 방향의 재설정은 윤 대통령이 오히려 시대 정신으로 내세우는 '공정과 상식'에도 부합하는 측면이 있습니다.

과거 인사 기준이 일부 불공정했을 수 있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구조적 성차별은 없다'는 기존 철학과 다소 배치되는 방향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윤 대통령은 지난 21일 한미정상회담 후 기자회견에서 관련 질문을 받고 "여성의 공정한 기회가 더 적극적으로 보장되기 시작한 지 오래되지 않았다"며 "이런 기회를 더 적극적으로 보장할 생각"이라고 했습니다.

다만,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의 후퇴까지 고려하는 기류는 아닙니다.

핵심 관계자는 통화에서 "애초 여가부 폐지로 여성정책을 관두겠다는 뜻이 아니었다"며 "여성 발탁 노력과 여가부 폐지 공약 폐기는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대통령실은 정호영 전 후보자 낙마 직후 새로운 복지부 장관 후보자를 검증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덕수 국무총리 건의대로 의료산업 규제개혁을 위해 대형병원을 경험한 의료인 출신을 물색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 관계자는 통화에서 "연금 개혁도 반드시 해결해야 할 난제지만, 이번에는 보건 분야에 탁월한 전문성을 가진 여성 위주로 후보군을 좁혀가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