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대기오염물질 탓 코로나19 감염 위험 더 커져…"최대 5.2배"

대기오염물질 탓 코로나19 감염 위험 더 커져…"최대 5.2배"
이산화황(SO₂)과 일산화탄소(CO) 등의 대기오염물질이 코로나19에 걸릴 위험을 최대 5.2배로 높였다는 연구 결과가 국내에서 제시됐습니다.

차의과학대 의료정보학교실 한현욱 교수와 경남대 보건의료정보학과 심성률 교수 공동 연구팀은 코로나19 발생 초기였던 2020년 1∼4월 전국의 확진자 3천234명을 대상으로 당시 기상 상황 및 대기오염 정도가 코로나19 발생에 미친 영향을 후향적으로 분석한 결과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오늘(25일) 밝혔습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환경 연구'(Environmental Research) 최신호에 발표됐습니다.

연구팀은 기상청, 한국환경공단에서 제공하는 전국 174개 지역별 기상 상황(일조량, 평균온도, 일교차, 바람의 세기)과 대기오염물질(이산화황, 일산화탄소, 오존, 이산화질소,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농도를 날짜별로 수집해 가중치를 더하는 방식으로 코로나19 발생위험을 분석했습니다.

이 결과, 여러 대기오염물질 중에서도 유독 이산화황,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을수록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연구팀은 그 위험도를 각각 최대 5.2배(이산화황), 1.2배(일산화탄소)로 추산했습니다.

아황산가스로도 불리는 이산화황은 금속의 제련 공정이나 연료 연소 과정에서 주로 배출되는 공해 물질로, 인체 점막을 침해하는 독성이 있습니다.

일산화탄소는 석탄이나 석유 등 연료가 탈 때 발생하는 물질로, 체내에 들어가면 저산소증을 일으킵니다.

다만 이번 연구에서 기상 상황의 변동이나 다른 대기오염물질은 코로나19 감염 위험 증가와 유의성 있는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연구팀은 그동안 외국에서 발표된 논문과 이번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이산화황과 일산화탄소 등의 대기오염물질 입자가 공기 중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운송을 촉진했거나, 인체 흡입을 더 촉발하는 개연성이 있는 것으로 봤습니다.

또한 이런 대기오염물질이 인체에 들어가면 산화스트레스 등으로 체내 염증 상태를 유발함으로써 면역조절에 장애를 일으키고, 결국은 바이러스 감염에 더욱 취약해질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입니다.

미국 서부 산불 현장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미국에서는 지난해 미국 서부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로 만들어진 대기오염물질이 코로나19 감염을 확산시켰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한현욱 교수는 "이번 연구로 다양한 환경 요인들이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의 위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 점에 의미가 있다"면서 "특히 대기오염물질 중에서도 이산화황과 일산화탄소의 대기 중 농도가 높은 날에는 외출에 주의하면서 감염성 질환에 각별히 대처해야 한다"고 권고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