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안보리, 북한 미사일 논의할 긴급회의 11일 개최…미국 요청으로 소집

안보리, 북한 미사일 논의할 긴급회의 11일 개최…미국 요청으로 소집
미국 정부가 현지시간으로 오는 11일 북한의 최근 미사일 발사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긴급회의 개최를 요청했다고 AFP통신 등이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5월 안보리 의장국인 미국의 요청에 따라 북한 문제를 다루는 안보리 회의가 11일 오후 3시에 공개회의 형식으로 열릴 예정이라고 AFP는 전했습니다.

이번 회의 소집 요청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수위가 높아지는 가운데 이뤄졌습니다.

앞서 합동참모본부는 주말인 지난 7일 북한 함경남도 신포 해상의 잠수함에서 발사한 것으로 추정되는 단거리 탄도미사일 1발을 포착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SLBM 발사는 7개월 만으로, 지난 4일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으로 추정되는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한 지 사흘 만의 미사일 도발입니다.

북한이 올해 들어서만 15차례 이어진 미사일 시험발사에 더해 핵실험을 재개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미 국무부는 북한이 이르면 이달 중 핵실험을 할 준비가 돼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따라서 이번 안보리 회의에서는 주말 SLBM 발사뿐 아니라 일련의 미사일 도발과 핵실험 가능성 등 북한의 무력 도발과 안보리 제재 결의 위반 문제가 폭넓게 논의될 것으로 보입니다.

미 정부는 이미 지난주 후반부터 안보리 회의소집 요청을 검토해왔다고 외교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특히 이번 안보리 회의는 북한에 '매파'적이고 한미 군사동맹을 중시하는 윤석열 신임 대통령의 취임식 하루 뒤에 열리는 것이라고 AFP는 지적했습니다.

또한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주유엔 미국대사가 대북 추가제재 결의안 처리를 추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안보리 회의에서 이 문제도 함께 논의될 가능성이 큽니다.

미국 주도로 마련된 안보리 대북 추가제재 결의안은 북한에 대한 원유 수출 상한선을 현행 400만 배럴에서 200만 배럴로 줄이고, 탄도미사일뿐 아니라 순항미사일 발사도 금지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애연가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겨냥해 북한에 담뱃잎과 담배 제품을 수출하지 못하도록 막는 내용도 포함됐습니다.

토머스-그린필드 대사는 지난 3일 안보리 의장으로서 첫 기자회견을 하고 추가제재 결의안을 "이번 달 안에 표결하는 것이 우리의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그러나 추가 제재안 통과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이 외교가와 외신들의 공통된 분석입니다.

거부권을 가진 안보리 상임이사국 중 중국과 러시아가 대북 제재 강화에 대한 반대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편, 파르한 하크 유엔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한반도의 평화적 비핵화를 진행할 수 있도록 대화로 복귀할 것을 촉구한다"는 입장을 반복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