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Pick] "비글은 악마, 리트리버는 천사? 삐-빅- 편견입니다"

[Pick] "비글은 악마, 리트리버는 천사? 삐-빅- 편견입니다"
'반려견의 품종과 성격은 관련이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현지시간 28일 가디언에 따르면 미국 매사추세츠 대학 연구팀의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지에 게재했다고 보도했습니다.

해당 연구팀은 반려견의 품종이 행동과 연관 있는지 연구하기 위해 1만 8,385마리의 반려견의 신체적 특징 및 행동과 2,155 마리의 게놈(유전체)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어떤 영역에서도 특정 품종과 행동이 국한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파악했고, 이들 연구팀은 '품종은 반려견의 특성을 약 9%만 설명한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유전적인 영향이 물론 존재하지만, 대부분 반려견의 특성을 품종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강아지, 개 (픽사베이)

예컨대 온순한 성격으로 '천사견'이라 불리는 리트리버의 유전체를 가진 개의 경우 사회성이 좋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지만 연구 결과 이는 사실이 아니었으며, 반대로 쾌활한 성격으로 '악마견'으로 일컬어지는 비글 역시 얌전하고 온순할 수 있다는 겁니다. 

연구팀은 오히려 "환경적 영향 또는 견주의 인식에 따라 반려견의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며 해당 연구 결과가 "견주에게 시사하는 바가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연구를 이끈 엘리너 칼슨 박사는 해당 결과에 대해 "대부분 사람들의 예상보다 훨씬 낮은 수치"라면서 반려견 행동의 차이는 환경적 영향이나 견주의 영향이 많았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같은 품종에서도 반려견은 다양한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품종의 유전에 대한 관심보다는 당장 내 앞에 앉아 있는 반려견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라고 말했습니다.

링컨 대학의 수의 행동학 교수인 다니엘 밀스 또한 "반려견이 보이는 잠재적으로 위험한 행동들은 유전적 메커니즘이 아닌, 성장과 환경에 기인한다"라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뉴스 픽'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