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법안서 사라진 '한국형 FBI' 중수청…경찰 견제 어떻게?

<앵커>

국회 법사위를 통과한 검수완박 법안에는 여야가 당초에 합의했던 한국형 FBI, 즉 중대범죄수사청 설치에 대한 내용은 빠져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경찰 권력이 과하게 커질 수밖에 없는데, 여야는 서로 탓만 하고 대책 마련은 뒷전으로 밀려 있습니다.

강청완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주 여야가 합의했던 검수완박 법안 국회의장 중재안에는 검찰 수사권을 폐지하는 대신 한국형 FBI, 가칭 중대범죄수사청을 1년 6개월 안에 출범시킨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검찰의 직접 수사를 폐지하는 대신 중수청을 만들어 수사 공백을 메우고 경찰로의 수사 집중도 견제하겠다는 취지입니다.

하지만 국회 법사위를 통과한 개정안에는 중수청 설치 합의가 통째로 사라졌습니다.

여야는 서로 책임을 돌렸습니다.

민주당은 국민의힘 반대로 관련 내용이 빠졌다고 주장했는데,

[박주민/민주당 의원 (CBS 인터뷰) : (중수청 설치 관련) 부칙이라도 넣자. 저희는 그렇게 주장을 했는데 사실 국민의힘이 그걸 부칙에 넣거나 이런 거를 반대한 거예요.]

국민의힘은 그런 논의조차 없었다고 반박했습니다.

[전주혜/국민의힘 의원 : 민주당에서 하는 얘기는 (사실과) 다르다. 소위에서 논의된 바가 없다는 말씀을 드리고요.]

민주당은 합의대로 국회 사법개혁특위를 구성해 중수청 설치를 논의하자고 했지만 국민의힘은 민주당의 법안 강행 처리로 국회의장 중재안이 파기됐으니 사개특위 구성에도 협조할 수 없다고 맞섰습니다.

지금 법안대로라면 검찰의 직접 수사가 폐지되는 넉 달 뒤부터 부패와 경제범죄를 제외한 4대 중대범죄 수사는 경찰에 집중됩니다.

그만큼 경찰 권한이 비대해지는 건데, 이를 견제할 대책 마련에는 국회가 손을 놔버렸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