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극단 선택 시도' 유동규, 건강 문제 호소…재판 지연

'극단 선택 시도' 유동규, 건강 문제 호소…재판 지연
대장동 개발 특혜·로비 사건의 핵심 증거인 정영학 회계사의 녹음파일 증거조사가 차질을 빚었습니다.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이 최근 구치소에서 극단적 선택을 시도한 이후 건강을 회복하지 못했다고 호소하면서 법원이 공판 일정을 다시 논의하기로 했습니다.

유 씨의 변호인은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2부 심리로 열린 공판에서 "극단적 선택을 시도한 이후로 피고인이 건강을 회복하지 못해 식사도 하지 못했다"며 "이 자리에 앉아있는 자체가 가혹한 일이고, 이대로 재판을 진행하는 것은 무리"라고 주장했습니다.

법정에 나온 유 씨 역시 직접 발언할 기회를 얻어 "내가 왜 그런 선택을 했나, 그것만이 재판장께 진실을 알릴 수 있어서 유서를 써놓고 그렇게 했던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유 씨는 이어 "재판에서도 편견을 갖고 본다면 도대체 어디에 가서 하소연할지 모르겠다"고 호소했습니다.

검찰은 "재판을 강행하자는 입장은 아니다"라며 "건강을 체크한 뒤에 재판부가 결정하시라는 의견"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검찰은 "변호인이 말한 내용이 지나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며 "피고인이 지난 20일 기상 시간에 일어나지 않고 대답도 하지 않아 의무실에서 검사를 했으나 정상이었고,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병원으로 옮겨 자기공명영상장치를 비롯한 검사를 했으나 역시 정상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검찰은 또 "피고인이 구치소에서 하루 한 알의 수면유도제를 받은 것은 사실이지만, 수면유도제는 수면제와 달리 처방전 없이 받을 수 있는 약으로 약효나 부작용이 수면제보다 훨씬 약하다"며 "CCTV에 피고인이 약을 한꺼번에 복용하는 모습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부연했습니다.

당초 재판부는 오늘(25일) 공동 피고인인 정영학 회계사에 대한 증인 신문을 진행한 뒤 정 회계사의 녹음파일을 법정에서 재생하기로 했지만 차질이 불가피해졌습니다.

정영학 회계사

(사진=연합뉴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상담전화 ☎ 1393, 정신건강 상담전화 ☎1577-0199, 희망의 전화 ☎ 129, 생명의 전화 ☎ 1588-9191, 청소년 전화 ☎ 1388, 청소년 모바일 상담 ‘다 들어줄 개’ 어플, 카카오톡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