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머스크, 테슬라 주식담보로 빚내서 트위터 인수자금 57조 원 조달

머스크, 테슬라 주식담보로 빚내서 트위터 인수자금 57조 원 조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가 21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트위터를 인수하기 위해 테슬라 보유 지분을 담보로 은행 대출을 받기로 했습니다.

머스크는 이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465억 달러(57조 5천670억 원) 규모의 트위터 인수 자금 조달 방안을 신고했다고 블룸버그 통신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이 보도했습니다.

신고서에 따르면 머스크는 인수자금 중 255억 달러를 은행 빚을 통해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이중 거의 절반인 125억 달러(15조 4천750억 원)는 테슬라 주식담보 대출입니다.

돈을 꿔주는 금융기관은 미국 모건스탠리와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영국 바클레이즈, 일본 미쓰비시 UFG 파이낸셜그룹(MUFG)과 미즈호 은행, 프랑스 소시에테제네랄과 BNF 파리바 등 모두 12곳입니다.

또한 머스크는 은행 빚인 부채 금융(debt financing) 255억 달러와 더불어 자기자본 조달을 의미하는 지분 금융(equity financing)으로 210억 달러를 확보하겠다고 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자금 출처 방안은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머스크가 테슬라 주식담보 대출 약정분을 제외한 보유 지분을 팔거나 트위터 인수에 함께할 파트너를 확보하는 방안이 있을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로이터 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 시도가 사모펀드의 관심을 끌고 있다며 인수전 참가를 고려 중인 아폴로글로벌매니지먼트가 머스크 등과 협력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또한 사모펀드 토마 브라보도 머스크와 트위터 인수를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뉴욕포스트가 전했습니다.

머스크는 SEC에 다른 투자자가 인수 자금을 대거나 본인이 추가로 빚을 낼 경우 지분 금융 규모는 줄어들 수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머스크는 이와 함께 델라웨어주에 'X 홀딩스'라는 지주회사 3개도 만들었습니다.

머스크는 이 지주회사 중 한 곳으로 트위터 인수 자금을 몰아넣은 뒤 트위터 인수에 성공할 경우 이 법인을 트위터와 합병한다는 계획입니다.

머스크는 이날 신고서에서 트위터와 협상을 진행하려 한다면서도 적대적 인수합병(M&A)인 주식공개매수(텐더 오퍼·Tender Offer)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방식은 트위터 경영권을 획득하기 위해 다른 주주들을 접촉해 이들의 보유 주식을 직접 매입하는 것입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