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코로나에 비만 4년 새 2배 늘었다…10대 비만 환자는 '폭증' 수준

코로나에 비만 4년 새 2배 늘었다…10대 비만 환자는 '폭증' 수준
비만 환자가 지난 2017년 이후 4년 사이 두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음식 섭취·운동 습관 변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됩니다.

비만 환자 증가는 소아·청소년층에서 특히 두드러져 이 기간 10대 비만 환자의 수가 3.6배로 늘어났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오늘(21일) 이런 내용의 '2017∼2021 영양결핍과 비만 통계' 분석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비만 환자는 3만 170명으로 2017년 1만 4천966명의 배 이상으로 늘었습니다.

전체 환자 가운데 남성은 9천676명으로 2017년(2천832명)보다 3.4배로 늘었고, 여성은 2만 494명으로 2017년(1만 2천134명)의 1.7배 수준으로 증가했습니다.

작년 비만 환자를 연령대별로 보면 30대가 6천666명(22.1%)으로 가장 많았고, 40대(6천504명), 10대(4천457명), 50대(3천984명) 순이었습니다.

2017년, 2021년 연령대별 환자 수 비율 (사진=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공, 연합뉴스)

증가 폭은 10대에서 가장 컸습니다.

2017년 1천227명이었던 10대 환자는 작년 4천457명(3.6배)으로 대폭 늘었습니다.

10세 미만 환자도 같은 기간 1천14명에서 3천102명으로 3배 증가했습니다.

전체 환자 가운데 비중이 가장 높은 30대, 40대 환자는 2017년보다 각각 59.8%, 80.4% 증가했습니다.

비만 환자 증가 요인으로는 코로나19 유행으로 변한 식습관과 운동 습관이 꼽힙니다.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0년 지역사회건강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유행으로 배달 음식 섭취가 늘었다고 응답한 사람은 38.5%였으며, 코로나19 유행 이전보다 신체 활동이 줄었다는 사람은 52.6%였습니다.

심평원은 "인스턴트, 배달 음식 섭취 증가와 함께 운동 부족 현상이 심화한 것을 최근 비만 환자 증가의 원인으로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면서 "특히 급증한 10대 청소년의 비만을 예방하기 위해 학교, 학부모, 학생 모두의 적극적인 주의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비만 환자가 급증하는 한편으로는 영양결핍 환자도 크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2021년 영양결핍 연령대별 환자 수 (사진=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공, 연합뉴스)

영양결핍 환자는 2017년 14만 9천791명에서 지난해 33만 5천441명으로 2.2배 늘었습니다.

연령대별로는 50대가 8만 407명(24.0%)으로 가장 많았고 60대(7만 547명), 40대(5만 6천215명), 30대(3만 6천829명)가 그다음이었습니다.

지난해 전체 영양결핍 환자 가운데서는 비타민D 결핍 환자가 24만 7천77명(73.7%)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비타민D는 칼슘과 인의 대사를 좌우하는 호르몬으로 결핍 시 뼈에 칼슘과 인이 축적되지 못해 골격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심평원은 "비타민D 결핍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균형 있는 식사를 하고 적절한 야외활동을 통해 햇볕을 쬐어야 하며, 티아민 부족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현미 등 잡곡류를 섭취하고 지나친 음주를 피하는 게 좋다"고 권장했습니다.

(사진=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