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전국서 사라져버린 꿀벌 78억 마리…원인은 '월동 실패'

<앵커>

지난 겨울 전국에서 사라진 꿀벌이 78억 마리로 추정됩니다. 원인을 살펴봤더니 작년 내내 이어졌던 이상 기온이 꿀벌의 '월동 실패'를 불러온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심영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12년째 양봉업을 해온 정태구 씨, 지난 2월, 벌들을 깨우기 위해 벌통을 열었던 순간을 잊을 수 없습니다.

[정태구/양봉 농민 : (벌통을) 열어봤더니 황당한 거죠, 벌이 없으니까. 아, 이거 어떻게 해야 되나. (저희 벌의) 3분의 1만 살아있다고 봐야죠.]

우울한 봄을 맞은 것은 정 씨뿐만이 아닙니다.

[박명준/양봉 농민 : (월동 들어갈 때) 생각한 거에 10% 밖에 안 남은 거예요. 벌 자체가 그냥 없어져버린 거예요.]

지난 겨울을 보내며 전국에서 39만 봉군, 약 78억 마리의 꿀벌이 사라졌다는 것이 정부 추산입니다.

피해 벌통을 정밀 조사해봤더니 정상 벌통과 뚜렷한 차이가 있었습니다.

산란이 없어야 하는 겨울에 여왕벌이 알을 낳으면서 그 애벌레 사체가 나오거나 부화하지 못한 번데기가 무더기로 발견됐습니다.

[오대근 연구원/국립농업과학원 양봉생태과 : 일정한 온도를 유지해야 (벌이) 나올 수가 있는데요. 겨울철에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기 적정한 시기가 아닙니다. 그래서 번데기를 만들지 않고요.]

이상 고온에 계절을 착각해 산란했는데 갑자기 추워지면서 제대로 키우지 못하는 현상, 벌들의 '월동 실패'로 추정된다는 것입니다.

[최용수 연구관/국립농업과학원 양봉생태과 : 온도 편차가 심할 때 받는 스트레스가 굉장히 크고, 또 그게 일벌 개체가 받는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들 종족을 계속 유지시켜나가는 후대 양성인 발육 단계에서도 쇼크를 받을 수가 있는 거죠.]

하지만, 응애 방재를 철저히 하고 겨울철 벌통 온도를 10도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설탕물을 먹이로 공급했던 벌들은 문제가 없었습니다.

농촌진흥청은 작년 유난히 들쭉날쭉했던 이상 기온이 꿀벌의 대규모 실종을 불러왔다고 보고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