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치료제는 처방 기피…백신은 변이 취약

<앵커>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규모는 조금씩 줄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고위험 층에 먹는 치료제를 신속하게 공급하기로 했습니다. 또 올가을과 겨울, 코로나 다시 유행할 것에 대비해 추가 백신 접종 계획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박재현 기자입니다.

<기자>

최근까지 5주간 국내 사망자 9천여 명 가운데 36.8%가 요양병원과 시설에서 숨졌습니다.

하지만, 먹는 치료제의 80.4%는 이들이 아닌 재택치료자들에게 처방됐습니다.

담당 약국들은 재택치료자 처방만으로도 치료제가 동났습니다.

[먹는 치료제 전담약국 약사 (지난달 22일) : 처방전 받아놓고 약국마다 전화하시는 분도 있고요. 여기 아니라 다른 지역으로 (가기도 합니다.)]

정부가 앞으로는 지역 보건소에 먹는 치료제를 우선 공급한 뒤, 보건소를 통해 요양병원과 시설 내 처방을 늘리기로 했습니다.

요양 병원의 의료진이 부작용을 우려해 먹는 치료제 처방을 꺼리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요양병원 근무자 : (병원 내 의료진이) 약 잘못 먹어서 부작용 생기면 병원만 뒤집어쓸 건데 이 약을 어떻게 처방하냐(는 부담도 있습니다.)]

백신 접종은 올해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는 "올가을과 겨울 코로나 재유행 가능성에 대비해 접종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새 변이가 유입될 경우 정부가 현재 도입하고 있는 백신으로는 예방 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정부 관계자는 "이미 계약한 올해 1억 4천 회분의 백신 도입을 서두르지 않고 있다"며, "추가 변이에 대응할 수 있는 새 백신이 개발될 경우 교체해 도입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