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정부 "먹는 치료제 내달 말까지 46만 명분 도입…스와프도 검토"

정부 "먹는 치료제 내달 말까지 46만 명분 도입…스와프도 검토"
정부가 코로나19 경구용(먹는) 치료제 도입 시기를 앞당겨 내달 말까지 총 46만 명분을 도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현재까지 확보한 먹는 치료제 총 100만4천 명분이 순차적으로 국내에 도입 중인 가운데 4월 말까지 기도입된 일부 물량을 포함해 총 46만 명분을 조기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오늘(25일) 밝혔습니다.

현재 국내에서 처방 중인 먹는 치료제는 화이자의 '팍스로비드', 머크앤드컴퍼니(MSD)의 '라게브리오'(성분명 몰누피라비르) 등 2가지입니다.

팍스로비드는 어제 기준으로 총 16만3천 명분이 도입됐습니다.

지난 1월 24일부터 어제까지 재택치료자, 생활치료센터 및 감염병전담병원 환자 등 11만3천783명에게 사용됐으며, 남은 물량은 4만8천947명분입니다.

여기에 오늘 도착한 팍스로비드 물량(4만4천 명분)과 이달 내로 들어올 물량(4만 명분)을 더한 8만4천 명분, 지난 23일 선도입돼 내일부터 사용되는 라게브리오 2만 명분에 27일에 도착할 8만 명분을 더한 10만 명분 등 이달 말까지 총 18만4천 명분이 들어오게 됩니다.

이에 더해 4월 중에는 27만6천 명분이 추가로 도입될 예정이므로 3월 말부터 4월 말까지 약 한달간 46만 명분의 치료제가 들어온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입니다.

라게브리오

당국은 필요할 경우, 앞서 코로나19 백신 도입 당시 사용됐던 '스와프' 방식을 차용해 외국 정부와 먹는 치료제를 교환하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최근 환자 발생이 다소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지만, 확진자 정점과 시차를 두고 이달 말부터 위중증 환자가 정점에 도달할 것으로 보고 치료제 도입에 속도를 내는 상황입니다.

의료 현장에서 치료제 물량 부족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계속되는 가운데 정부는 충분한 물량이 도입되고 있다며 적극적으로 반박하고 나섰습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오늘 세종정부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대본 회의에서 "처방 대상과 기관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면서 최근에는 하루 7천 명 넘게 투약되고 있고, 재고량도 빠르게 줄고 있다"며 "재고량이 바닥나서 치료제를 처방 못 받는다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총리는 "일선 의료현장에서 먹는 치료제가 부족하지 않도록 선제적 조치에 나서고 있다"며 "당초 화이자사와 협의된 4월 물량을 최대한 앞당겨 도입하고 이에 더해 4월 초에 추가물량을 도입하기 위한 계약도 마무리 단계에 와 있다"고도 말했습니다.

한편 정부는 내일부터 본격적으로 처방하는 새 치료제 라게브리오의 오용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스템 마련에 나섰습니다.

라게브리오는 지난 23일 긴급사용승인을 받아 내일부터 본격적으로 환자에 처방되며, 코로나19 증상이 나타난 지 5일 이내인 60세 이상자, 40세 이상 기저질환자, 면역저하자 중 기존 치료제 사용이 어려운 대상자에게 투여됩니다.

단, 임신부나 만 18세 미만 소아·청소년 환자는 투약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