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대전 검·경, 보이스피싱 근절 위해 협력…전국 첫 사례

<앵커>

지난해 피해 규모가 7천억 원이 훌쩍 넘을 만큼 보이스피싱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 가운데, 대전지검과 대전경찰청이 머리를 맞대고 수사 협력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검경 수사권 조정 갈등으로 번번이 무산됐던 수사 협력에 두 수사기관이 손을 맞잡은 건 전국에서 처음인데요, 앞으로도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한 범죄수익 환수 등 적극 대처하기로 했습니다.

이수복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고령의 어르신이 은행에 찾아와 직원에게 1천만 원을 인출해 달라고 요청합니다.

이상한 낌새를 느낀 직원은 경찰에 신고했습니다.

계좌를 해킹당했다며 현금을 인출해야 한다는 보이스피싱에 속아 넘어갈 뻔한 겁니다.

지난해 11월 대전시 유성구에 사는 40대 남성도 저금리 대출로 갈아타게 해주겠다는 말에 현혹돼 2천500만 원을 인출했다가 경찰에 의해 가까스로 제지되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지역과 세대를 막론하고 보이스피싱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 금액은 7천700억 원으로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보이스피싱 범죄 근절을 위해 대전지역 검찰과 경찰 100여 명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검경 수사권 조정 시행 이후 두 기관의 협력 필요성이 제기됐지만 번번이 무산됐는데, 전국 처음으로 합동 수사 방안 마련에 나선 겁니다.

[노정환/대전지방검찰청 지검장 :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한 수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죄에 상응하는 처벌을 받도록 하기 위해서는 양 수사 기관의 유기적 협력이 더욱 크게 요구됩니다.]

[윤소식/대전경찰청장 : 수사에 있어서 경찰과 검찰은 그 역할이 다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가야 하는 방향은 같다고 생각합니다.]

두 기관은 최근 대면 편취 수법이 크게 증가했다는 현황과 함께 직접적인 피해로 직결되는 현금 수거책의 검거 노하우를 공유했습니다.

[신승주/대전경찰청 수사 2계장 : (용의자가) 카드라도 결제하면 인적이 특정되는데, 여기서 체포영장 받고 통신 허가 영장 받고 이렇게 하면 최소 대여섯 번의 영장이 필요하다….]

검찰과 경찰은 이 같은 세미나를 분기마다 개최해 민생 침해 범죄와 관련한 협력 방법을 논의할 계획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