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국, 초미세먼지 농도 117개국 중 54위…대기질 개선 흐름"

"한국, 초미세먼지 농도 117개국 중 54위…대기질 개선 흐름"
지난해 우리나라 대기중 초미세먼지(PM2.5) 평균농도는 18.9㎍/㎥(이하 단위 ㎍/㎥)으로 전년도(19.5)보다 낮아지는 등 개선추세를 보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스위스 공기질 감시·공기정화 기술업체인 아이큐에어(IQAir)는 22일 세계 117개국 6천475개 도시의 지난해 PM2.5 평균농도를 조사해 발표한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한국은 PM2.5 평균농도 순위는 117개국 중 2018년 27위(24.0), 2019년 26위(24.8), 2020년 41위(19.5), 지난해 54위(18.9)로 점차 낮아지는 추세였습니다.

이 순위는 낮을 수록 초미세먼지 농도가 낮아 대기질이 좋다는 뜻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입자 크기가 2.5㎛ 이하인 PM2.5 초미세먼지의 경우 낮은 농도에서도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며 연평균 농도를 5.0 이하로 유지할 것을 권합니다.

서울의 지난해 PM2.5 평균농도는 19.7로 세계 각국 수도 중 오염도 45위였으며, 국내 조사 대상 도시 중 오염도가 WHO 기준보다 낮은 곳은 한 곳도 없었습니다.

서울의 PM2.5 연간 평균농도는 2019년 25.2에서 2018년 23.3으로 감소했고, 2019년 24.8로 높아졌다가 2020년 20.9로 낮아졌습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당면 과제로 서울 등 수도권과 공장 등이 밀집한 산업지역의 공기 오염이 높다는 점과 기후 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과 가뭄으로 고비사막에서 불어오는 황사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점을 꼽았습니다.

또 가장 주목할만한 점으로 서해에서 기온 역전으로 발생한 바다 안개가 한반도 전체의 대기와 환경 조건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바다 안개가 동아시아 지역의 대기오염 물질을 한반도로 운반하고 바다 안개 속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으로 에어로졸이 생성되면서 한국 서해안뿐 아니라 수도권 내륙 지역의 PM2.5 농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WHO 회원국의 공기중 PM2.5 평균농도가 WHO 기준을 모두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조사 대상 6천475개 도시 가운데 WHO 기준보다 오염도가 낮은 곳은 222곳(3.4%) 뿐이었고 93개 도시(1.4%)는 오염도가 기준치의 10배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