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전파력 더 센 '스텔스 오미크론'…기존과 어떻게 다른가

<앵커>

국내 코로나 확진자 5명 가운데 1명은 스텔스 오미크론이라고 불리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걸로 나타났습니다.

전파력이 세서 조만간 우세종이 될 수도 있는데, 기존 오미크론과는 어떻게 다른지 조동찬 의학전문기자가 알려 드립니다.

<기자>

오미크론의 하위 변종인 BA2, 즉 스텔스 오미크론의 국내 점유율은 22.9%, 1주 전보다 두 배 늘었습니다.

일부 국가에선 기존검사로 진단할 수 없어서 스텔스란 단어가 붙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PCR과 신속항원검사에서 모두 판별할 수 있습니다.

기존 오미크론보다 전파력이 30% 정도 세단 연구결과가 있는데, 덴마크, 스웨덴, 남아공 등에선 이미 우세종이 됐습니다.

[정은경/질병관리청장 : 동물실험 결과에서는 폐 조직 손상과 같은 병원성이 높을 가능성에 대해서 보고를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게 사람들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일본 도쿄대 연구팀이 기존 오미크론과 스텔스 오미크론을 햄스터에게 감염시킨 뒤 폐를 부검해본 사진입니다.

폐에 퍼진 바이러스를 빨갛게 표시했는데, 스텔스형이 기존형보다 빨간 부분이 제법 더 빨갛습니다.

기존형의 9.3배나 되는데, 그만큼 독성이 강하단 의미입니다.

스텔스형에 걸린 햄스터는 체중도 훨씬 많이 빠졌고, 폐활량과 산소 포화도도 더 낮았습니다.

이번엔 인체 연구 결과 보겠습니다.

남아공은 기존 오미크론을 누르고 스텔스 오미크론이 86%나 됩니다.

그런데 중증화율과 입원비율은 차이가 없습니다.

일본 도쿄대가 실험한 햄스터와 달리, 남아공 사람들은 중증을 예방할 수 있는 면역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분석했습니다.

백신을 맞아서, 코로나에 걸려서 인체에 면역력이 생겼다는 겁니다.

[이근화/한양의대 미생물학과 교수 : 입원율이라든지 치사율이 높지가 않습니다. 즉, 스텔스 오미크론 바이러스가 감염 시 증상이 더 심각하다는 그런 자료는 아직까지는 없습니다.]

세계보건기구는 스텔스형 비중이 커지고 있지만, 오미크론 감염 자체는 줄고 있다며 과도한 걱정은 경계했습니다.

다만, 아직 연구 초기 단계라서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