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군과의 전투에 참전하기 위해 우크라이나로 건너온 외국인 의용군이 약 2만 명에 달한다고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무부 장관이 6일(현지시간) 밝혔습니다.
쿨레바 장관은 이날 미국 CNN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이(외국인 의용군) 숫자는 현재 2만 명가량"이라며 "그들은 대부분 유럽 국가에서 왔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전세계 많은 이들이 러시아와 최근 몇 년간 벌어진 일들을 싫어했지만, 누구도 공개적으로 이의를 제기하거나 그들과 싸울 엄두를 내지 못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그래서 사람들은 우크라이나인들이 싸우고 포기하지 않는 것을 보고, 많은 이들이 참전 동기를 느꼈다"고 덧붙였습니다.
쿨레바 장관은 이러한 현실에도 가장 중요한 것은 전 세계의 '지속가능한 정치·경제·군사적 지원'이라며 "특히 방공에 초점을 맞춘 미국의 지도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외국인 참전 의사가 잇따르는 가운데 우크라이나 역시 적극적으로 의용군 참여를 호소해왔습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지난달 26일 "우크라이나 수호에 참여하고 싶은 분들은 우크라이나로 와 달라, 우크라이나를 수호하는 모두가 영웅"이라고 말했고, 우크라이나 국방부는 의용군에게 무기를 지급하고 이들을 공식 부대에 배치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그러나 각국 정부의 허가 없이 외국 전쟁에 참여하는 것이 과연 적절한지를 두고 논란이 많습니다.
덴마크처럼 자국민이 우크라이나에서 무기를 들 수 있도록 허가한 곳도 있지만 우크라 참전을 실정법 위반으로 간주하는 국가들도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우크라이나 전 지역은 여행금지인 여행경보 4단계가 발령된 상태라서 방문하면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본 정부도 자국민들에게 의용군으로 참여하지 말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상당수 국민이 이미 우크라이나로 떠난 영국에서도 의견이 분분합니다.
리즈 트러스 영국 외무부 장관은 "러시아군과 싸우기 위해 우크라이나로 가기로 한 영국인을 지지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벤 월리스 국방부 장관은 "우크라이나를 도울 방법은 참전 말고도 있을 것"이라며 반대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