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MBTI 묻는 채용 심사 "성격이 스펙이냐"

<앵커>

예전에 혈액형 따지듯이, 'MBTI'라는 일종의 성격 검사가 몇 년 전부터 유행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회사들이 인재 채용할 때 묻는 경우가 늘고 있어서 취업 준비생들이 불만입니다.

전연남 기자입니다.

<기자>

수협은행이 최근 공채 지원자들에게 요구한 자기소개서입니다.
 
본인의 MBTI 유형이 지원하는 직무에 어떤 도움이 될지 적게 했습니다.

MBTI란 사람의 성격을 내향적과 외향적 등 16가지 유형으로 나누는 일종의 심리 검사입니다.

A 씨는 영업직에 지원했는데, 본인 MBTI는 내향적인 유형이라서 불이익이 있을까 걱정합니다.

[A 씨/수협은행 신입 공채 지원자 : 업무를 할 때에는 적극적이고 열정적일 수 있는데, MBTI가 I(내향적 성향)라는 것으로 그냥 '얘는, 이 지원자는 소극적일 것이다'라는 편견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이 저는 가장 걱정이 돼요.] 

기업들은 인재 뽑기가 힘든 만큼, 다양한 부분을 보려는 시도 가운데 하나라고 설명합니다.

[수협은행 관계자 : 옛날에는 (자기소개서에) 이렇게 좀 내성적이다. 이런 이야기를 많이 하고 이렇게 쓰지 않습니까? 그런 형태로 이렇게 지금 MBTI를 이렇게 좀 적용을 한 거거든요.] 

채용 공고 사이트에는 아예 선호하는 MBTI 유형만 뽑겠다, 반대로 어떤 유형은 안 뽑겠다는 경우가 이어집니다.

전문가들은 MBTI는 개인 성향을 보여줄 뿐이라서, 직업 역량을 따져야 할 채용에는 도움이 안 된다고 말합니다.

[서용구/숙명여자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 우리가 16가지 유형 중에 딱 하나에 속하는 건 아니잖아요.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잠재력을 발견하지 못한 채 유형화 안의 틀에 넣어버리면 너무 획일화된 그런 또 그런 업무를 줄 수도 있기 때문에….] 

가뜩이나 취업이 어려운데 심심풀이 MBTI가 또 다른 관문이자 스펙으로 떠오르면서 취업 준비생의 불만도 커지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