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러, 핵전력 비상태세 전환"…'핵 위협' 푸틴 속내는

<앵커>

말씀드린 대로, 푸틴 대통령은 핵무기를 운용하는 부대에 경계 태세를 강화하라는 지시를 이미 내렸습니다.

실제로 공격을 감행할 수도 있다는 건지, 아니면 뭔가 원하는 걸 얻어내기 위한 푸틴 특유의 심리전일지 그 속내를, 김석재 기자가 분석해봤습니다.

<기자>

당국의 강력한 단속에도 러시아 국민들의 반전시위가 사그라들지 않고 있습니다.

[전쟁 반대. 전쟁 반대.]

우크라이나의 거센 저항에 러시아군의 고전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미국을 비롯한 서방의 각종 제재로 루블화 가치가 폭락하고 사재기 현상이 나타나는 등 러시아 국민들의 타격도 현실화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대내외적인 압박에 직면하자 푸틴 대통령이 돌파구를 찾기 위해 핵 억제력 발언을 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옵니다.

자신을 향한 제재가 강화되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서방의 군사지원이 이어지자 이를 차단하려는 카드라는 겁니다.

[스텔젠뮐러/브루킹스 연구소 선임연구원 : 과거에도 그랬지만 우크라이나에 대한 서방의 지원을 막기 위해 판돈을 올려야 한다고 생각한 겁니다.]

또 나토라는 외세의 위협 때문에 일어난 전쟁이고,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이기겠다는 걸 자국민에게 강조하기 위한 국내 정치용 발언이란 해석도 있습니다.

[푸틴/러시아 대통령 : 불법적인 제재는 물론이고 나토 회원국 고위 관리들은 우리나라에 대한 공격적인 발언도 서슴지 않고 있습니다.]

푸틴 대통령도 핵전쟁의 위험성을 아는 만큼 실제로 핵무기를 사용하겠다는 것보다는 대중들을 겨냥한 언사라는데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이승희)

▶ [단독 인터뷰] 우크라에 남은 의원 "24시간 수십 차례 공습"
▶ 러, 민간지역도 포격…"국제적 금지된 진공폭탄 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