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문 대통령, 러시아에 신중론 대신 "경제제재 동참"

<앵커>

현지 소식과 국제사회 대응까지 짚어봤고, 계속해서 이번엔 우리 정부의 움직임 살펴보겠습니다. 청와대 나가 있는 취재 기자 연결합니다.

권란 기자, 러시아에 대한 제재에 지금까지 신중한 모습을 보였던 정부가 제재에 동참할 가능성을 오늘(24일) 내비쳤어요.

<기자>

우크라이나 사태를 보고받은 문재인 대통령은 유감을 내비치면서 '제재' 동참을 언급했습니다.

먼저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 브리핑 먼저 들어보시겠습니다.

[박수현/청와대 국민소통수석 : 무력침공을 억제하고 사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경제제재를 포함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지지를 보내며 이에 동참해 나갈 것이다.]

앞서 외교부는 "러시아가 전면전을 감행할 경우 수출 통제 등 제재에 동참할 수밖에 없다"고 운을 띄웠고, 문 대통령이 이를 분명하게 한 겁니다.

정부는 그동안 러시아와의 관계를 의식해서 제재에 신중론을 유지해 왔습니다.

그러나 침공이 현실화하면서 미국 등 국제사회의 압박 대열에 동참하기로 기조를 바꾼 걸로 보입니다.

다만 정부는 "군사적 지원, 또 파병은 검토하지 않는다"면서 분명하게 선을 그었습니다.

<앵커>

앞서 유럽 현지 연결에서도 짚어봤지만, 우리 교민들 안전 피해 없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정부의 대책도 끝으로 전해주시죠.

<기자>
 
공관원, 그리고 크림반도 체류 교민을 제외하고 우크라이나 현지에만 남아 있는 교민은 모두 64명입니다.

이 가운데서 이번 주 안에 철수하겠다, 이렇게 밝힌 교민은 36명이고요, 현지 대사관 등과 방법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청와대는 오전에는 NSC 긴급 상황점검회의, 오후에는 NSC 상임위 회의를 잇따라 열어서 우리 교민, 또 기업의 보호 대책을 점검했습니다.

24시간 비상 체제를 가동하면서 남은 교민들에도 철수를 설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만,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 이송 때처럼 군용기를 보내는 방안은 현지에 비행금지구역이 선포되면서 현실적으로 어려워 보인다고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설명했습니다.

(영상취재 : 최대웅, 영상편집 : 최진화)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