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북한군, 6·25 때 퇴각하면서 종교인 1145명 학살"

"북한군, 6·25 때 퇴각하면서 종교인 1145명 학살"
6·25 당시 남침한 인민군이 퇴각하는 과정에서 기독교·천주교인 1천 명 이상을 학살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오늘(22일) 2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위원회(진실화해위)가 서울신학대 박명수 교수팀에 의뢰해 진행한 '한국전쟁 전후 기독교 탄압과 학살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당시 인민군에 의해 개신교인 1천26명, 천주교인 119명이 희생됐습니다.

연구진은 작년 8월부터 12월까지 문헌조사·관련자 증언·피해 교회 방문 등 3단계 과정을 통해 희생자 명단을 확보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런 학살은 유엔군의 인천상륙작전 직후 1950년 9월 26일 북한 측이 "반동 세력을 제거하고 퇴각하라"고 명령한 데 따라 이뤄졌습니다.

인민군은 9월 27∼28일 충남 논산 병촌교회에서 교회 자체를 적대세력으로 간주해 66명을 사살했고, 이들을 포함해 성동지역에서 120명을 죽였습니다.

같은 해 9월 27일에는 퇴각하던 인민군이 전북 정읍경찰서에 감금된 장로와 우익인사 500여 명 중 350명을 유치장에 가둔 뒤 167명을 불에 태워 살해했습니다.

150명은 고부 임석리 두숭산 폐광에서 집단학살한 뒤 매장했습니다.

이 밖에도 영광 염산교회·야월교회, 영암 매월교회·구림교회 등에서도 집단 학살이 벌어졌습니다.

지역별로는 충남·전북·전남의 집단 학살 피해가 가장 컸습니다.

연구진은 기독교인 집단 학살이 기독교를 불순 세력으로 규정하고 탄압하려는 정책에서 기인했다고 봤습니다.

연구진은 "공산주의와 기독교는 일제 강점기부터 계속 갈등했고, 해방 이후에는 새로운 국가 건설 과정에서 첨예하게 대립했다"며 "한국전쟁 시기에 기독교 탄압을 본격화했고 특히 퇴각 과정에서 기독교인을 집단희생시킨 사례가 많았다"고 했습니다.

연구진은 "한국전쟁 시기에 공산주의에 부정적이었던 천주교도 개인 및 집단 피해 사례가 적지 않았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진실화해위원회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