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국제사회서 중국 적개심만 키웠다"…'시진핑 저격' 4만 자 문장

"국제사회서 중국 적개심만 키웠다"…'시진핑 저격' 4만 자 문장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장기 집권을 확정 지을 제20차 당대회를 앞두고 시 주석을 정면으로 비판하는 장문의 글이 중국 안팎으로 퍼져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10일 연합보 등 타이완 언론에 따르면 중국의 춘제 연휴를 앞둔 지난달 19일 중국 외부의 여러 중문 사이트에 시진핑 주석을 비판하는 4만자 분량의 글이 올라왔습니다.

'방주와 중국'이라는 필명의 작가가 쓴 이 글은 타이완 및 해외 화교 사회에서 널리 퍼졌고, 강력한 검열이 이뤄지는 중국 본토에도 일부 유포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필자는 이 글에서 시 주석이 중국을 잘못된 방향으로 이끌어 '세계의 적'으로 만들어버렸다며 통렬하게 비판했습니다.

그는 특히 "시진핑은 민중들에게 '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눈앞에 두고 있다'는 믿음을 심어주려 했지만 국제사회에서 적개심만 불러일으켰다"며, "이는 성급한 민족주의로 시진핑과 세계의 갈등은 '감정싸움' 양상이 됐다"고 개탄했습니다.

미중 신냉전을 비롯한 중국과 서방 간의 근본적인 갈등 원인이 성급하고 공격적인 민족주의를 통치 수단으로 삼은 시 주석의 잘못된 선택에 있다는 진단입니다.

시 주석 집권기에 접어들어 중국의 정치사회가 전제적으로 변해가고 있다는 점도 비판 대상이 됐습니다.

필자는 시진핑 주석의 정적이던 보시라이 충칭시 전 당서기가 '마이크를 든 홍색 나팔수'였다면 시 주석은 '회초리'를 들고 나타난 것이라면서 "홍색 전제 정치의 부활이 이처럼 가까이 다가온 적이 여태껏 없었다"고 지적했습니다.

중국 1인자 자리를 놓고 시 주석과 경합하던 보시라이는 충칭 당 서기 재직 시절 '혁명 가요 부르기' 캠페인을 전개하는 등 공산당 문화를 고양하는 전략으로 전국적인 관심을 끌어모았습니다.

보시라이가 세인의 관심을 끌기 위한 정치적 수단으로 '홍색 문화'를 활용했다면 시 주석은 강압적인 방법으로 중국을 실제 '홍색 전제주의' 체제로 바꿔놓았다는 지적입니다.

아울러 시 주석이 주창하는 '신 국유기업'이 '절대적 홍색 독점'을 창출하면서 대중이 바라는 가치와 이상 및 출세 등이 영원히 사라졌다며 경제 정책에 대해서도 비판의 소리를 높였습니다.

시 주석이 작년 말 19기 6중전회에서 채택한 '역사 결의'를 통해 자신의 시대를 정의한 것에 대해서도 쓴 소리를 했습니다.

필자는 "시진핑은 자신이 주도한 당의 세 번째 역사 결의에서 자신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후대만이 할 수 있는 관 뚜껑을 덮는 결론'을 내렸다"며 "중국 공산당의 역사에서 이런 일이 없던 만큼 이는 시진핑의 정치적 기세가 이미 다해 쇠퇴 몰락의 처지에 다다랐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필자는 또 올해 2022년은 시 주석에겐 정치적 최대 전환점이 될 것이라면서 그가 올가을에 연임에 성공하더라도 가시밭길에 들어서 2027년 이전에는 '전면적인 실패'에 직면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결국 시 주석과 그의 지지자들이 점점 더 멀어지면서 권좌에 홀로 남게 되는 그때가 시 주석의 '정치적 생명이 끝나는 시점'이라고 저자는 예측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중국공산당 문헌연구실 저우언라이 생애 연구조 조장을 맡았던 가오원첸은 이 글의 출현 시기를 눈여겨봐야 한다며 관심을 나타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