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야속한 코로나'…격리 영향에 성적 부진한 선수들

'야속한 코로나'…격리 영향에 성적 부진한 선수들
코로나19 여파로 눈물을 머금고 올림픽 출전을 포기하는 선수가 있는가 하면, 격리 끝에 '꿈의 무대'에 서게 된 선수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방 안에 갇혀 수일을 보낸 선수들이 100%의 기량을 발휘하기는 쉽지 않은 듯합니다.

오늘(9일) 중국 허베이성 장자커우의 겐팅 스노우파크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스노보드 알파인 남녀 평행대회전에선 이변이 발생했습니다.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스노보드 알파인 여자 평행 대회전 금메달리스트인 파트리치아 쿠머, 소치 대회 스노보드 알파인 남자 평행회전 은메달과 평행대회전 동메달, 2018년 평창 대회 평행대회전 동메달을 딴 잔 코시르가 나란히 16강에서 탈락했습니다.

이들의 공통점은 출전에 앞서 격리를 거쳤다는 겁니다.

쿠머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대신 중국에서 3주 격리를 선택했습니다.

중국 입국 전 대부분의 준비를 마쳤다는 그는 격리에 대해 "아무런 문제도 없다. 모든 것은 머릿속에 있고, 머리로 잘 준비하면 무엇이든 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긴 격리 끝에 경기에 나선 쿠머는 16강에서 줄리아 두모비츠(오스트리아)보다 0.20초 늦게 결승선을 통과, 다소 허무하게 대회를 마무리했습니다.

올림픽 3회 연속 메달 획득에 실패한 코시르도 격리 생활이 어려움을 전한 바 있습니다.

코시르는 지난달 28일 중국 도착 후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격리됐습니다.

그는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어 힘들었다. 방에 갇혀서 아무런 정보도 얻을 수 없었다. 마음이 힘들었다"고 털어놨습니다.

다행히 음성 판정을 받아 격리에서 풀려났지만, 대회에서 원하는 성적을 내지는 못했습니다.

격리의 고통을 호소하는 선수들은 적지 않습니다.

코로나19 양성 반응으로 격리된 러시아올림픽위원회(ROC)의 바이애슬론 선수 발레리아 바스네초바는 최근 자신의 SNS를 통해 격리 환경이 열악하다고 전했습니다.

격리 식단 공개한 바스네초바 (사진=홍콩프리프레스 트위터 캡처, 연합뉴스)

바스네초바는 약간의 파스타와 고기, 작은 감자 등이 담긴 부실한 도시락 사진을 올리며 "5일째 아침, 점심, 저녁으로 이걸 먹고 있다. 살이 많이 빠져서 뼈가 드러날 정도다. 침대 밖으로 나올 힘이 없어 온종일 잠만 잔다. 다른 것은 도저히 먹을 수가 없어서 파스타만 먹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매일 눈물을 흘린다"는 그는 "나는 내 코로나19 검사 결과에 대해서도 아무것도 알지 못한다"고 답답함을 토로했습니다.

또 동계올림픽에서 메달 6개(금3·은1·동2)를 획득한 독일 노르딕 복합의 에릭 프렌젤이 격리에 들어간 뒤에는 독일 대표팀 디르크 시멜페니히 단장이 나서서 격리 환경의 열악함을 지적하며 개선을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벨기에 여자 스켈레톤 선수 킴 메일레만스와 폴란드 스피드스케이팅 나탈리아 말리셰프스카는 격리 과정에서의 겪은 불안과 공포로 눈물을 쏟은 사실을 밝혔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홍콩프리프레스 트위터 캡처,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