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재택치료자 관리가 60세 이상, 먹는 치료제 처방 대상인 50세 이상 기저질환자 등 '집중관리군' 중심으로 개편됩니다.
정부는 오늘(7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의 '오미크론 유행 대응 방역·의료체계 대응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전파력은 강하지만 중증화율은 낮은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하면서 정부는 "고위험군의 중증·사망 방지에 집중하면서 정부·민간이 협력 대응할 수 있는 오미크론 맞춤형 방역·의료체계로 개편이 필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정부는 이달 말쯤 신규 확진자가 13만∼17만 명 규모로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오미크론은 중증·치명률이 낮고 무증상·경증 환자가 다수인 특성이 있다면서 "모든 확진자에 대하여 동등하게 집중하는 현재의 방역·의료체계가 효율성이 떨어지고 고위험군의 관리가 미흡해질 수 있는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며 방역·의료체계 개편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우선 60세 이상 등 집중관리군 재택치료 환자를 중심으로 건강 모니터링을 하기로 했습니다.
집중관리군은 재택치료 관리 의료기관에서 1일 2회 유선으로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지만, 일반관리군은 정기적인 모니터링 없이 스스로 관리하다가 필요하면 동네 병·의원 등에서 비대면 진료나 상담을 받게 됩니다.
산소포화도 측정기, 해열제, 체온계 등 재택치료 키트는 60세 이상 등 집중관리군 확진자에게 지급하고, 구성품도 7종에서 4종으로 간소화합니다.
재택치료 환자의 동거가족은 생필품 구매 등을 위한 필수 외출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역학조사도 효율화하는데, 확진자가 직접 웹페이지에 접속해 접촉자 등을 기입하는 '자기기입식 조사서'를 도입하고, 조사 항목도 단순화합니다.
GPS를 이용한 자가격리 앱은 폐지하고, 동거가족 격리제도도 대폭 간소화해 의약품 처방·수령 등 필수 목적 외출을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의료대응체계도 중증환자 관리에 집중하되, 무증상·경증인 환자는 동네 병·의원과 협력하는 체계로 관리하겠다고 밝혔습니다.